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d라이브러리
"
물리
"(으)로 총 4,65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마와 벽화에 남은 자기장의 흔적
과학동아
l
200702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에는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무언가가 있는 곳의 방향을 알려주는‘잭의 나침반’이 나온다. 이 나침반은 보물을 찾는 해적에게는 매력적이지만, 정확한 북쪽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 본래 역할은 하지 못한다. 나침반을 가진 사람에 따라 나침반이 가리키는 방향이 달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02
수준까지를 연구대상으로 한다생체 내 여러 현상 및 생체 구성성분의 구조 · 성질 등을
물리
화학적 수단으로 연구하는 학문 생물학은 복잡한 생명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종전까지는 기술적(記述的) 과학으로서의 성격이 짙었다 생물계를 식물계 · 동물계 · 균계의 세 생물군으로 ... ...
곰스쿨, 과학동아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702
공동 진행하기도 한다. 내용을 심도 있게 다루기 위해서다. 현재 수학(김원태 강사),
물리
(이용환 강사), 화학(국덕영 강사), 생명과학(이정화 강사) 그리고 지구과학(김지혁 강사)에서 5명의 강사가 참여하고 있다.지난해 12월 8일 곰스쿨은 과학동아 기사를 교재로 사용한 동영상 첫 강의를 내보냈다. ... ...
MEMS는 미래기술의 해결사
과학동아
l
200702
것입니다.” 양자전기역학 이론으로 노벨
물리
학상을 받은 리처드 파인만이 1959년 미국
물리
학회에서 “바닥에는 ‘풍부한’ 공간이 있다”는 주제로 강연한 내용의 일부다. 머리카락보다 얇은 ‘풍부한’ 공간그로부터 반세기가 지나기도 전에 세계 각국은 머리카락 굵기보다 작은 기계를 ... ...
진정한 유비쿼터스 시대 눈앞에
과학동아
l
200701
전자파로 에너지를 보내 무선으로 휴대기기를 충전하는 기술을 지난 11월 14일 미국
물리
학 포럼에서 발표했다.솔야체크 박사는 코일의 전류가 만드는 전자기장이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 있는 다른 코일에도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자기 이론을 응용했다. 전원과 기기의 코일은 같은 구리 재질로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01
細網內皮系細胞)에 있으며 파리의 일종인 플레보토무스 베루카눔(Phlebotomus verrucanum)에
물리
면 전염된다선(腺)의 실질(實質)이나 또는 배설관이 염증으로 인해 형성된 낭포 특히 임질이 경과된 뒤에 배설구가 폐쇄되어도 선분비가 계속되면 분비물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해 선강에 괴어 낭포를 ... ...
상상력으로 가득찬 동그라미
과학동아
l
200701
Ouroborous)는 자기 꼬리를 무는 뱀 또는 용의 문양을 가리킨다. 끝없이 물고
물리
는 원형의 고리는 세계 거의 모든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우로보로스를 통해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걸까. 우로보로스는 무한히 이어지는 시간과 공간, 완벽한 존재, 우주의 본질 등 많은 의미를 내포한다. ... ...
지금 화성에는 물이 흐르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01
흐르거나 지표면 근처에 있던 얼음이나 눈이 녹았을 수 있다.미국 하와이대 지구
물리
행성연구소의 린다 마르텔 박사는 “두 주장 모두 그럴듯하지만 지하수는 온도와 기압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예를 들어 지금까지 발견된 화성의 협곡 중에 긴 것은 7km에 달한다.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01
양자(Quantum)에서 찾고 있다. 양자를 이용한 컴퓨터 개념은 이미 1982년에 미국의
물리
학자 리처드 파인만이 제안했다. 양자의 중첩현상과 얽힘현상을 이용해 새로운 개념의 컴퓨터를 만든다는 생각이다. 양자컴퓨터가 사용하는 정보의 기본 단위는 큐빗(Qubit)이다.양자는 중첩현상을 통해 0과 1의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01
인식한다는 얘기가 단순히 얼굴에 나타나는
물리
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것만은 아니다.
물리
적인 변화에 따른 상대방의 기분과 감정 상태까지 파악해야 표정을 읽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표정은 언어를 제외하고는 가장 강력하고 복잡한 의사소통 신호라 불린다.표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1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