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묘사
말씨
말
표시
서술
발상
말투
d라이브러리
"
표현
"(으)로 총 4,880건 검색되었습니다.
숫자 마술 부리는 신기한 수9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십의 자리 숫자를 b, 일의 자리 숫자를 c라고 하면 임의의 세 자리의 자연수는 100a+10b+c로
표현
할 수 있다. 각 자리의 숫자 순서를 뒤집으면100c+10b+a가 된다. 이때 a c라고 하면 두 수의 차는 100a+10b+c-(100c+10b+a)=100(a-c)-(a-c)가 된다. a-c를 d라고 하면 1≤d≤9이므로 두 수의 차는 ...
일차함수의 그래프는 왜 직선일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y=ax+b와 같이 일차식으로
표현
되는 함수를 일차함수라고 합니다. 일차함수의 그래프는 직선이고요. 그래서 어떤 일차함수의 그래프를 그릴때 그래프 위의 두 점만 알면 그릴 수 있습니다.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되니까요.예를 들어 그래프①을 보세요. 일차함수 y=2x의 그래프입니다. 이 함수의 ... ...
PART 4. 수학은 흥미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떠들썩했던 축제 현장에서도 빛을 발했다. 캐나다 대표단 다니엘 진 군은 “수학을
표현
하고 사랑하는 일에 앞장서는 학생들이 됩시다!” 라고 외치며 단상을 내려왔다.다양한 나라의 문화를 흠뻑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이 밤늦도록 이어졌다. 축제가 끝날 무렵, 각국에서 모인 학생들은 기념품과 ... ...
감성을 읽는 수학의 눈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사람의 기분을 생체 신호에서 추출한 특징의 크기를 통해 좋을 때는 ○, 나쁠 때는 ×로
표현
할 수 있다고 하자.만일 이들을 구분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특징 값이 하나라면, 1차원 선 위에 그림2처럼 표시돼 이들을 구분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하나의 특징을 추가적으로 사용해 x축과 y축으로 이뤄진 ... ...
지능설계 및 그래픽스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좌표로 지정해 컴퓨터 속에서 크기와 형태를
표현
한다.이 교수는 “물체를 사실적으로
표현
하기 위해서는 기계 공학과 전산학이 필수”라며 “이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수학과 물리를 잘 알아야 하고 여기에 컴퓨터 프로그래밍 능력도 함께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사실적인 이미지는 ... ...
교과서 100% 활용한 논술 대비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개념을 토대로 논리적인 글을 써야 한다. 과학 개념을 잘 알고 있더라도 이를 논리적으로
표현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글쓰는 방법을 어느정도 익혀야 한다.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많이 써보는 것이 최선이자 최고의 방법이다.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습관고등학교 1, 2학년 학생이 처음부터 대학별 ... ...
수학일기는 나만의 포트폴리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느낀 것도 쓸 수 있다. 수학에 관련된 책을 읽고 책의 내용에 대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
한다. 예로‘맨홀 뚜껑은 왜 원일까?’‘바코드에 있는 숫자는 어떤 의미이고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관한 책을 읽었다면 자신만의 맨홀 뚜껑을 만들어 본다든지, 바코드보다 더 복잡해 ... ...
제10회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는 청소년들이 과학적 소질을 계발하고 과학적
표현
력을 통해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2002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논술대회다. 과학적 사고와 논리를 통해 청소년들이 창의적인 시각에서 인간과 사회의 본질을 고찰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
각기 다른 ‘헤어스타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커 만지면 찔릴 것 같은 뿔 같은 공격용 무기를 갖고 있다. 삐죽 튀어나온 돌기라는
표현
은 박각시과 중 꼬리박각시아과의 배마디 끝에 달려 있는 꼬리가 어울린다. 애벌레 시절에 달고 다니던 뿔이나 꼬리는 번데기가 돼서도 그 형태를 유지해 번데기 끝 부분이 뾰족하다.배 윗면에 튀어나온 뿔과는 ... ...
내 안에 루트2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작품도 만들어보자.*무리수실수이면서 유리수가 아닌 수인데, 다시 말해 분수 꼴로
표현
할 수 없는 수를 말한다. 학생들은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차근차근 단계적으로‘수 체계’를 배우고,‘무리수’는 중학교 3학년 때 처음 교과서에서 만날 수 있다.*정리수학에서 참이라고 증명된 명제.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