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둥이
구강
아가리
입아귀
구멍
의치
가치
d라이브러리
"
입
"(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않게 접혀 있지만, 위험을 느낄 때면 재빨리 울긋불긋한 목의 깃을 활짝 세운다. 그리고
입
을 크게 벌리며 날카로운 소리를 내 적을 위협한다. 체구는 작지만 목도리 깃 덕택에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는 셈이다. 어쩌면 동물들의 허세는 일상적인 일인지 모른다. 힘센 적과 싸우지 않고 제압하기 ... ...
인터넷 신화 일군 야후!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정장을
입
고 온 사람은 염사장 뿐이었다. 미국 야후에서는 영업사원조차 청바지를
입
고 다른 사람을 만난다고 한다. 야후는 회사이름 만큼 직원들의 호칭도 자유스럽다. 제리의 회사내 호칭은 ‘추장(Chief) 야후’이고 데이빗의 호칭은 ‘싸구려(Cheap) 야후’이다. 홍보담당자는 ‘PR 디버’(오페라 ... ...
날카로운 불은 정사면체, 안정된 흙은 정육면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십이궁과 우리의 십이지가 그 예다. 플라톤의 이런 주장 때문에 정다면체는 ‘플라톤의
입
체도형’이라는 별명을 갖게 됐다. 플라톤의 이론은 현대적인 시각에서 보면 기묘하고 공상적으로 보이지만, 서구 세계에서는 17세기까지 진지하게 받아들여졌다. 케플러의 행성 이론정다면체는 행성의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바꿔야할 이유가 별로 없었다.그러나 서양의 초상화는 늘 새로운 지식과 기법을 도
입
하고 시험해 훨씬 다양한 자세와 표정이 나올 수 있었다. 화가들은 당연히 의도적으로 오른쪽 얼굴을 그리려고 시도했다. 서양이 우리의 초상화에 비해 좌측 편향을 덜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사람의 얼굴은 유인원에 비해 편평하고 몸 전체에서 볼 때 아주 작다. 사람의 잇몸과
입
천장은 넓은 포물선형인 반면, 유인원은 길고 좁은 사각형(U형)으로 앞쪽 두 귀퉁이에 커다란 송곳니가 튀어나와 있다. 중추신경굼(척추신경 안에 있는 구멍)은 유인원의 경우 머리 뒤쪽으로 나 있지만, 사람은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때문에 변비가 습관화된다.그렇다면 변비는 왜 생기는 것일까. 대변의 재료는 음식이다.
입
으로 들어가는 재료가 많아야 최종 생산물도 많아져서 수월하게 나온다. 그래서 밥을 굶는 사람은 변비에 걸리기 쉽다. 최근 젊은 여성들이 다이어트를 하면서 변비가 생기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 ...
사하라에서 새로운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시카고대학의 고생물학자 폴 세레노가 사하라사막에서 두 종류의 새로운 공룡화석을 발견됐다. 요바리아 티구이덴시스(Jobaria tiguidensis )는 긴 목과 큰 이빨을 가지고 ... 발견된 용각류 중 가장 작아 보인다. 비록 몸집은 작지만 6백개에 이르는 이빨을 가진 큰
입
과 독특한 코가 특징이다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낫처럼 생겼다. 따라서 뒷발로 한번 걷어차면 사냥감은 배가 갈라지고 치명적인 상처를
입
게 된다. 두번째 발톱은 걷거나 뛸 때는 들어 올려져 땅에서 떨어져 있고, 공격할 때는 1백80도를 회전할 수 있어 정확하게 찍을 곳을 찾을 수 있다.서너 마리의 데이노니쿠스가 도망가는 테논토사우루스의 ... ...
첨단 도청 기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듣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비효율성 때문에 헥사코드가 복제된 이동전화는 실 가
입
자 몰래 도둑통화 하는데 주로 쓰일 뿐 도청용으로 쓰일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그러나 미국 등에서는 이미 기지국과 이동전화 사이의 코드화된 전파신호 전체를 풀어내 완전하게 도청할 수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물론 작업이 끝날 때까지 자세의 변화는 좀처럼 없다. 이 과정이 오랫동안 반복되면
입
술 모양이 변해 똑똑한 발음이 어려워진다. 즉 고저강약의 변화가 적고 소리가 명확치 않은 ‘코맹맹이’ 음성으로 변할 가능성이 크다. 요즘 발음이 명확치 않은 청소년들이 늘고 있는 이유가 이 때문이 아닐까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