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둥이
구강
아가리
입아귀
구멍
의치
가치
d라이브러리
"
입
"(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테냐 10년의 역작 신혼의 방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올려다보면
입
이 더 벌어진다(고개를 완전히 뒤로 젖히고 천장을 올려보는 자세에서는
입
이 자연스럽게 벌어진다. 목 근육이 아래턱을 끌어당기기 때문이다. 만테냐가 이런 것까지 계산에 넣었을 지는 미지수다).천장과 지붕 대신 하늘 우물이 동그랗게 뚫려 있고, 그 위로 흰 구름이 둥실 떠간다.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이 주머니 속에 혀를 집어넣고 있다가 사용할 때만 밖으로 내민다. 그래서 평상시에는
입
을 벌려도 혀를 볼 수 없다.혀를 움직이는 모습도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다.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뱀들은 구렁이와 같이 작게 끝을 날름거린다. 또 외국의 방울뱀 같은 종류는 머리 위에서 턱 아래쪽으로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장군봉에 올라 땅에 손을 대고 그 뿌듯한 백두산의 정기를 느낀다. 그리고 절을 하듯
입
도 맞추어본다. 차가운 느낌의 감동.그리고 몸을 일으켜 세울 때 누군가 외친다. “와! 보인다. 천지가 보인다.” 그렇게 천지는 자신의 속내를 보여준다. 반대편 북한쪽의 천지안쪽 병풍처럼 둘러선 기암절벽, ... ...
껌 8분 이상 씹으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있겠지만 단물만 빨고 껌씹기를 그만두면 오히려 충치의 원인이 되는 껌의 단 성분이
입
안에 남게 되기 때문이다. 스트레스 해소냐 충치예방이냐에 따라 껌 씹는 시간을 조절해야 하는 셈이다.만일 무리하게 껌씹기를 오래하면 치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무리한 껌씹기는 스트레스로 작용해 ... ...
냄새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손상되겠지만 후각의 손상은 미각의 무뎌짐에 ‘치명타’를 날린다. 코감기에 걸렸을 때
입
맛이 뚝 떨어지는 경험은 누구나 한번쯤 해봤음직하다. 미각을 미각답게 가꿔주는 후각이 막혀 있으니 그럴 수밖에. 냄새는 맛을 식별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즉 대부분의 맛은 냄새로 느껴진다.음식 ... ...
쌍방향 장난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사용해 구현할 수 있다.영상 처리·인식 기술은 장난감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입
력되는 영상을 분석해 원하는 목표물(사람 또는 물건)이 어디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술이다. 사람이 대부분의 정보를 눈을 통해 받아들인다는 측면에서 장난감 또는 로봇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입
는 컴퓨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PDA는 컴퓨터 회사와 가전 회사의 공동작품으로 불린다.▲
입
는 컴퓨터 관련 사이트 ▲http://lcs.www.media.mit.edu/projects/wearableshttp://www.cs.cmu.edu/afs/cs.cmu.edu/project/vuman/www/home.htmlhttp://comsci.yonsei. ...
디지털 시대의 메모방식 보이스 레코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목적이라면, 레코더의 성능이나 사무실 환경에 따라 음질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구
입
전에 성능을 테스트해보는 것이 좋다.IC 레코더에서는 보통 표준방식(Standard Play)과 장시간방식(Long Play)의 두가지 녹음 방식을 제공하는데, 장시간방식이 표준방식에 비해 음질이 약간 떨어지는 대신 더 긴 내용의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물이 계속해서 흘러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기압과 중력 때문이다. 처음에 호스를
입
으로 빨면 호스 내부의 공기가 없어지면서, 수면을 누르는 대기압에 밀려 통 속의 물이 빨대로 빨려 올라온다. 물이 거의 호스 끝까지 채워지면 빠른 동작으로 호스 끝을 막은 후 물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지형이 만들어낸 일종의 착시였다. 하지만 사이도니아 지역의 화성인은 아직도 호사가의
입
에 오르내리고 있다. 화성표면에는 이와 비슷하게 무언가를 연상시키는 지형이 또 있다. 웃는 얼굴을 한 크레이터 지형, 사랑의 상징인 하트 모양 등이 그것이다. 또다른 하트 지형이 지난 발렌타인데이를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