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접안렌즈를 볼록렌즈로 바꿔 시야를 넓히는 데 성공했다. 대물렌즈를 오목거울로 바꿔
빛
을 모으는 ‘반사망원경’은 굴절망원경보다 상이 깨끗하고 크기도 자유롭게 키울 수 있어 천문대나 허블 우주망원경 같은 대형 망원경에 많이 쓰인다.갈릴레이도 놀라 자빠질 종이 굴절망원경준비물 검은색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동시에 꾸준히 기술개발을 하고 있다. 그는 “지금 개발하고 있는 기술이 나중에
빛
을 발하면 부자가 될 수도 있으니 어린 시절 꿈을 포기한 건 아니다”라고 말하며 웃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교수가 사업을 운영하거나 투자해 큰돈을 버는 사례가 많다. 우리나라도 최근에는 이와 비슷한 추세로 ...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다이아몬드와는 다른 모습이 현미경에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냥 볼 때는 다이아몬드의
빛
을 반사하는 특징 때문에 반짝 반짝했는데, 현미경으로 보는 다이아몬드는 거울 조각이 붙어 있는 것처럼 독특했고 소박한 느낌도 들었다.배상덕 박사님은 취재 내내 재미있는 예를 들어주시며 즐겁게 응해 ... ...
[체험] 유신고등학교 수학동아리 MAX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연습했답니다. _문동훈(2학년)MAX가 갈고 닦은 정다면체 만들기 솜씨는 ‘수향제’에서도
빛
을 발했다. ‘수향제’는 매년 9월에 열리는 유신고 가을 축제로, 전교생이 참여하는 큰 행사다. 이 경험을 살려 10월에 열리는 수원정보과학축제에서도 정다면체 만들기를 선보일 예정이다.한편, 매년 1학기 ... ...
별 세계도 ‘저출산 고령화’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깊숙한 곳에 있기 때문에 직접 관측하기는 어렵다. 그 대신 주위의 물질이 별에서 나오는
빛
을 흡수한 뒤 다시 적외선으로 방출한다. 이 적외선으로 별의 탄생 영역을 간접적으로 관측하는 것이다.천문학자들은 우주 역사에 걸친 별 탄생의 변화를 알아내기 위해 외부 은하를 연구한다. 다른 학문과 ... ...
연잎에서 나온 반도체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각도에 따라 소자에 도달하는 광량이 변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용 교수는 “
빛
의 입사각에 따라 저항변화 특성이 조절되는 소자”라며 “나노소자와 생체모방기술을 접목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9월 1일자에 실렸다 ... ...
새댁기자의 쿡쿡 맛있는 과학 - 6화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맛있게 구워진 고등어는 안쪽을 60℃까지 구운 것이었어요. 생선 표면은 노릇노릇 누런
빛
이 나도록 눌었고, 속살까지 잘 익었거든요.약한 불에서 천천히 구워야 제맛!온도에 따라 생선구이의 식감이 다른 이유는 근육을 이루고 있는 단백질(미오신과 액틴)과 결합조직이 변했기 때문이에요. ... ...
내 생애 마지막 휴대폰 - 폰관리 피부관리보다 힘들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이전보다 덜 선명해지는 이유는 바로 이 돌기 때문이다.필름 위의 돌기가 우리가 보는
빛
의 영역인 가시광선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려면 가시광선 파장의 절반 크기인 100~200nm 수준까지 작게 만들어야만 한다. 하지만 이렇게까지 돌기가 작아지면 연꽃잎 효과를 내는 데 필요한 상대적으로 큰 1차 ... ...
멥쌀 vs 찹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매일 밥으로 지어먹는 쌀이 바로 멥쌀이랍니다. 배젖이 반투명해 쌀알을 모아놓으면
빛
이 나요. 멥쌀은 밥으로 지었을 때 비교적 질퍽거리지 않고 담백해요. 녹말 가운데 질퍽거리는 성분인 아밀로펙틴이 찹쌀보다 적고, 담백한 아밀로오스 성분도 들어 있기 때문이에요. 이런 성질을 이용해 ... ...
스무살 GIST, 칼텍과 손잡고 노벨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치료할 새 길을 찾고 있다.창후에이 양 칼텍 교수와 정의헌 GIST 교수는 생체조직 안으로
빛
을 집중하는 기술을 연구 중이다. 이 기술은 조직에 대한 고해상도 광학 이미지를 얻거나, 레이저를 이용해 조직 깊숙한 곳을 파괴하거나 제거하는 데 쓸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 기술이 절개 없는 레이저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