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작고 전류 세기도 수십에서 수백 A(암페어) 정도로 약해요. 따라서 사람이 번개의 작은 빛줄기에 맞았을 때는 부상만 입고 살아남을 수 있답니다. 전기를 모아서 한 번에!번개를 직접 만들어 내는 과학자들도 있어요. 한국전기연구원에는 가로 50m, 세로 33m, 높이 25m의 거대한 실험실이 있어요. 이 ... ...
- 대결! 무지개를 만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하지만 그 무지개는 물이 없으면 볼 수 없잖아요?무…, 물론 그렇지.우리는 빛만 있으면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는 무지개를 띄워 볼게요! 바로 이 회절격자필름으로 만든 분광기로요!이렇게 분광기를 눈에 대고 형광등이나 TV 화면을 바라보면, 짜잔~, 무지개가 뜬답니다!오오, 정말 아름다운 ... ...
- 빗방울이 뚝뚝뚝뚝 떨어지는 날에는 이런 우산 어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부딪히는 순간에 발생하는 압력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 수 있고, 이 전기로 우산에 빛을 밝히는 거지. 신기하기도 하고 안전하기도 한 우산, 빨리 갖고 싶어~!이제 세계의 기발한 우산도 소개해 줄게. 재미있게 생긴데다가 멋진 기능까지 갖춘 우산들이야. 앗! 내가 소개하려는 우산을 쓴 사람이 ... ...
- 꼭꼭 숨어라! 편광 조절 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눈에는 보이지 않는 수많은 무늬가 생겨요. 저희는 이걸 감지하고, 비스듬하게 들어오는 빛도 반사할 수 있어요. 주변 환경에 훨씬 더 잘 녹아든다는 이야기지요.우와, 나에게도 그 위장술을 알려 줘!과학자들도 놀란 첨단 위장술을 공짜로 알려달라고요? 특별한 ‘편광 껍질’을 닥터 그랜마가 만들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지름을 22분으로 나누어 광속을 구할 수 있었다. 그 속도는 약 21만 4000km. 현재 알려진 빛의 속도는 30만km다.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생각한 피에르 라플라스(1749~1827)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혜성과 달, 토성, 목성, 목성의 위성 등을 수학적으로 연구한 으로 유명하다. 이 책은 179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정도 지나면 더는 우주에서 별이 태어나지 않는다. 연료가 모두 떨어지기 때문이다. 별이 빛을 발하지 않으면서 우주는 극도로 어두워진다. 중성자별과 흑색왜성, 갈색왜성, 살아남은 행성 등은 우주를 떠돌아다니다 서로 중력의 영향을 주고받아 은하를 탈출하기도 한다. 이렇게 탈출한 천체는 ... ...
- 과학으로 아기 키웠던 네안데르탈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살았구나~. 지구 정복을 도와 줘!저를 데려가도 별로 도움이 안 될걸요? 저희는 빛이 부족한 고위도 지역에서 살았기 때문에 눈의 크기가 현생인류보다 커요. 또 몸집도 훨씬 크기 때문에, 눈으로 보거나 몸을 움직이는 것을 담당하는 뇌 영역만 많이 발전했지요.하지만 뇌의 전체 크기는 현생인류와 ... ...
- 세포는 금 주사기로 DNA 맞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녹색 형광 단백질을 만드는 DNA를 세포에 주사하자 아래 사진처럼 세포에서 녹색 형광 빛이 나왔답니다. 세포가 망가지지 않고 DNA가 정확하게 전달됐다는 뜻이지요. 연구팀은 금 주사기를 이용해 유전자를 치료하거나 약물을 세포에 정확히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 ...
- 마지막회 폴의 선택은?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하루가 있는 쪽으로 달려갔다. 피타가 해답을 누르자, 하루가 갖고 있던 열쇠에서 환한 빛이 나오기 시작했다. 피타와 하루가 달려오는 폴리스를 향해 손을 내밀고 두 손이 맞닿는 순간, 그들의 몸이 배 안에서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기 시작했다.“안 돼!”테스티의 분노에 찬 비명이 멀어지고 있었다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짧아져 푸른빛에 가까워지는 청색편이 현상이 생기고, 멀어지면 파장이 길어져 붉은빛에 가까워지는 적색편이 현상이 생긴다. 즉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일수록 적색편이가 크다.미국 포츠머스대 연구원으로 재직하던 2007년 필자는 산타페에서 있었던 학회에서 적색편이를 이용해 아인슈타인의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