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식별"(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게시판] 연구실 안전의 날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18.11.19
- 데이터를 풀지 않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로, 이를 활용하면 개인정보를 식별할 필요 없이 각종 통계분석이 가능하다. 이번 세미나에선 동형암호 기술의 글로벌 동향에 대한 천정희 서울대 수학과 교수의 주제 발표가 진행됐고, 생체인증이나 신용평가 등 실제 산업 분야의 활용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2018.11.13
- 가정하면, 10배 떨어진 3m 거리에서는 해상도가 1㎜이므로 우리 눈은 UHD와 HD의 차이를 식별하지 못한다는 말이 된다. ‘내가 제대로 계산했나...’ 필자의 느낌을 뒷받침하는 결과이지만 필자의 기억과 추론을 믿을 수 없어 인터넷에서 적당한 키워드로 검색을 해봤는데 놀랍게도 ‘우리 눈이 UHD ... ...
- 오늘은 나도 돌고래 연구자! 지구를 위한 과학, 제주 돌고래 탐사 열려동아사이언스 l2018.08.11
- 남방큰돌고래 행동관찰을 한답니다. 등지느러미로 개체를 식별하고, 성별과 먹이도 식별할 수 있어요. 등지느러미에 ‘1’이라고 쓰여 있는 개체가 바로 제돌이랍니다.” 제돌이는 서울대공원 수족관에 있다가 5년 전 제주 앞바다로 돌아간 남방큰돌고래로, 당시 이를 계기로 돌고래 보호와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2017.07.16
- 곳에 살고, 서로 친한 관계이며, 비슷한 외모나 냄새가 나는 것이죠. 마지막 기전인 식별 대립유전자 효과는 흔히 푸른턱수염 효과로 불리는데, 좀 어려우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겠습니다. 인간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곳에 살고, 같은 방언을 쓰며, 같은 피부색에, 같은 습관과 배경을 가진 사람을 ... ...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일부 연구팀은 합성 게놈의 오류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는 기술도 발명하며 개발 속도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 첫 ‘진핵’ 인공생명체 사실 최초의 인공생명체는 이미 2010년 개발됐다.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JCVI)는 가장 작은 생명체라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2017.02.28
- 인식해 공격했다. 반면 정교한 사회구조를 지니고 있지 않은 말벌들은 이런 얼굴 식별 능력이 없었다. 드 발은 “생물학자들은 메커니즘과 기능을 구분해야 한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즉 동물의 세계에서는 같은 목적(기능)을 이루기 위해 다른 수단(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게 아주 흔한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2016.12.29
- 유전자가 임의로 발현하게 만든 브레인보우(brainbow) 기술로 개별 뉴런을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게 했다. - 네이처 제공 1960년대 미국 우즈홀해양생물연구소의 시모무라 오사무 박사가 해파리에서 발견한 GFP는 푸른빛이나 자외선을 흡수한 뒤 이보다 에너지가 낮은 녹색빛을 내는, 즉 형광을 내는 ... ...
- 중국, 해양강국 건설 전략 발표 2015.11.12
- 해양 산업을 선점하려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한국과는 이어도 방공식별구역 선포, 일본과는 다오이다오(일본명: 센카쿠) 문제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으며, 베트남과도 영해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국가 간 갈등상황은 중국이 해양영토 확보를 위해 얼마나 많은 ... ...
- 초간편 진단키트로 해양환경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일반인이 활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에 부딪혔다. 그러다 임신진단키트, 병원성 세균 식별 키트 등이 항원-항체 면역 반응을 이용하는 것에 착안했다. 와편모조류 검출 방식에도 이러한 키트를 사용하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림 3. 항원에 항체가 달라붙은 모습을 ... ...
- 바다의 총천연색 속살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걸쳐 한반도 주변 해역에 떠 있는 어선들의 위치를 한 눈에 알 수 있고, 이를 어선들에게 식별정보와 대조하면 불법조업어선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위성통신과 결합하면 더욱 확장된 역할도 가능하다. 2015년 1월 2차 개정된 원양산업발전법이 좋은 사례다. 이 법에 따르면 모든 원양어선에 ... ...
이전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