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응용과학"(으)로 총 2,014건 검색되었습니다.
- 결정면 따라 다른 차세대 양자점 성질 최초 규명동아사이언스 l2024.12.17
- 성공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정소희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팀과 프랑스 툴루즈 국립응용과학원 공동연구팀이 인듐포스파이드(InP) 나노결정의 표면 화학적 특성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고 안정적인 반도체 양자점 합성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 ... ...
- IBS '상대론적 레이저과학 연구단' 단장에 김경택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4.12.13
-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김경택 광주과학기술원(GIST) 물리·광과학과 교수가 기초과학연구원(IBS) 상대론적 레이저과학 연구단의 신규 연구단장으로 선임됐다. IBS는 김 신임 연구단장이 오는 16일부터 GIST 캠퍼스에 위치한 상대론적 레이저과학 연구단에서 연구를 시작한다고 13일 밝혔다. 상대 ... ...
- [사이언스얼라이브2024] 국내 첫 과학 보도자료 시상식 열렸다…KIST·IBS·화학연 1위동아사이언스 l2024.12.12
- 기초과학연구원(IBS) 권예슬·서유정 씨가 12일 연세대 신촌캠퍼스IBS관에서 열린 ‘2024 사이언스얼라이브’에서 ‘PR 어워드’ 저널리스트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고 있다. 사이언스 얼라이브 제공 국내 최초로 과학 보도자료 시상식이 열렸다. ‘과학자의 언어’를 ‘대중의 언어’로 잘 전달한 연 ... ...
- 올해 과학기술유공자에 불소화학 권위자 고 박달조 박사 등 6인동아사이언스 l2024.12.12
- 개발했다. 국내 불소화학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지금의 KAIST인 한국과학원을 이끌며 응용과학 중심의 인재 양성 기반을 마련한 공을 인정받았다. 박성현 박사는 국내에 현대 통계학을 도입하고 산업현장에 통계학을 적용해 품질관리 등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세계적인 통계학 ... ...
- [과기원NOW] GIST,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 조절해 대장암 치료 가능성 제시 外동아사이언스 l2024.12.04
- 왼쪽부터 광주과학기술원(GIST) 오창명 생명공학과 교수, 안진희 화학과 교수, 이정윤 의생명공학과 박사과정생, 박수현 의생명공학과 박사과정생.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세로토닌 수용체 중 하나인 'HTR2B'의 활성을 저해해 대장암 세포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고 ... ...
- 12월 과학기술인상에 김범준…양자 스핀 '네마틱' 상 세계 최초 관측동아사이언스 l2024.12.04
- 12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선정된 김범준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론상 예측되던 ‘양자 스핀 네마틱 상’ 실험을 세계 최초로 관측한 김범준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2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 ... ...
- [과기원NOW] GIST, 서미라 작가 초대전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4.12.03
- 대동여지도를 천 위에 바느질로 표현한 서미라 작가의 대표작 ‘한결’. 광주과학기술연구원(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연구원(GIST)은 서미라 작가 초청 ‘기도, PRAY’전을 내달 24일까지 오룡아트홀에서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오래된 한지, 색색의 실, 삼베와 같은 재료를 섬세하게 결합해 독특하 ... ...
- 과기한림원, 첨단바이오·뉴럴링크 '한림원탁토론회' 잇따라 개최동아사이언스 l2024.12.03
- 뉴럴링크의 BCI 칩. 지름 23mm, 높이 8mm 크기의 원판에 64가닥의 실이 붙어 있는 형태다. 실에는 한 가닥당 16개씩 총 1024개의 전극이 부착돼 있다. 전극은 뇌의 활동을 기록한다. 뉴럴링크 제공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기한림원)은 과학기술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 방안과 범부처 차원의 대응방안, 해 ... ...
- 선박 따개비·조류 부착 억제하는 친환경 코팅동아사이언스 l2024.11.29
- 선박에 달라붙는 따개비나 조류 같은 해양생물은 선박 표면 마찰력을 커지게 해 연료 소비를 증가시킨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선박에 달라붙는 따개비, 조류 같은 해양생물은 선박 표면 마찰력을 커지게 해 연료 소비를 늘리는 원인이다. 국내 연구팀이 독성 물질 없이도 해양생물 부착과 결빙을 ... ...
- 하폐수 발생한 곳에서 바로 방류하는 처리 장치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11.21
- 일반적인 하·폐수 처리장의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수중 유기물을 빠르게 분해하고 방류 수준까지 처리할 수 있는 하·폐수 처리 장치를 개발했다. 대규모 처리장으로 이송할 필요 없이 발생 현장에서 곧바로 처리할 수 있어 하·폐수 관리 효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학기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