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aint
sainte
뉴스
"
세인트
"(으)로 총 203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류계의 외로운 ‘아수라 백작’
2014.12.31
이 새는 분류상 ‘홍관조(Cardinalis cardinalis)’의 일종이다. 홍관조는 미국 메이저리그팀
세인트
루이스 카디널스의 마스코트로 잘 알려진 새다. 연구진은 이 새가 다른 홍관조와 짝짓기를 하지 않으며 홍관조 특유의 지저귀는 소리도 내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심지어 다른 홍관조와 ... ...
아파트에 도시가스 쓰는 연료전지 설치한다면…
2014.12.23
발전할 수 있는 연료전지 전극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에는 존 어바인 영국
세인트
앤드류스대 교수팀도 참여했다.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해 공기와 반응시켜 전기를 만드는 차세대 에너지 기술이다.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중 발전효율이 가장 높고 오염물질이 ... ...
A형 독감예방 주사 한 대 맞았을 뿐인데…
2014.12.09
바이러스에 대항할 수 있는 면역력을 갖게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폴 토마스 미국
세인트
주드 어린이병원 박사팀은 독감예방주사를 맞은 사람들에게서 다양한 인플루엔자에 대항할 수 있는 면역반응이 확인됐다고 생물학 관련 학술지 ‘엠바이오(mBio)’ 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9~2010년 ... ...
유럽 생명과학연구소 허브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2014.10.17
역. 런던의 동서남북을 잇는 지하철 6개가 이 역에서 만나고, 이 역과 붙어 있는
세인트
판크라스 역에는 유럽 대륙으로 향하는 유로스타 국제터미널이 있다. 그야말로 런던 교통의 요지다. 지난달 26일 오전, 킹스크로스 역 바로 옆에 위치한 국립도서관 건물을 따라 모퉁이를 돌자 반짝거리는 은색 ... ...
물 마시려면 잎스폰지보다 이끼스폰지로
2014.10.07
이끼스폰지를 만들고, 이를 쓰는 법을 배운 것이다. 연구를 진행한 캐서린 호베이터
세인트
앤드류스대 박사는 “침팬지 사회에도 새로운 도구나 기술이 퍼져나갈 수 있음을 밝힌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 ...
‘질병 주식회사’에서 인류 멸망 바이러스 제조?
2014.08.24
거들떠보지도 않았을 어려운 의학용어와 친숙해지는 데도 안성맞춤이다. 기자가 만든 '
세인트
바이러스(Saint Virus)가 전 인류를 멸종 위기에 몰아넣었다 - 게임 '플레이그 Inc' 캡처 제공 ... ...
암세포 쉽게 판독하는 수술용 영상장치
동아사이언스
l
2014.02.16
영상장치를 활용해 수술 중 암세포 위치를 정확하게 찾는 기술이 나왔다. 미국
세인트
루이스 워싱턴대 사무엘 아킬레푸 교수팀은 휴대용 영상표시장치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기술이 적용된 수술용 특수 안경을 개발했다고 ‘생의학 광학 저널’ 최신호를 통해 밝혔다. 이 ... ...
화성 알고보니 생물의 천국?
동아사이언스
l
2014.01.26
발생 이전의 화학적 합성이 일어났을 만한 환경이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미국
세인트
루이스 워싱턴대 레이먼드 아르빗슨 교수팀은 화성정찰위성(MRO) 자료를 통해 37억 년 전에 생긴 ‘엔데버’ 크레이터 가장자리에 철과 알루미늄이 풍부한 점토 광물이 존재한다는 징후를 발견하고 2004년 ... ...
뇌 먹는 아메바, 수돗물에서 검출… “치사율 99%”
동아닷컴
l
2013.09.19
아메바’ 뇌 먹는 아메바가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미국 뉴올리언스 남동쪽에 있는
세인트
버나드 패리시의 상수도에서 뇌 먹는 아메바가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아메바는 코를 통해 사람 몸 안으로 들어가면 뇌조직을 파괴해 위험성이 상당히 크다. 또한 뇌 먹는 아메바의 치사율이 99%인 것으로 ... ...
스파이더맨이 날렵한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9.17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대, 영국 에딘버러대,
세인트
엔드루대 등 유럽 공동연구팀은 동물의 몸 크기가 작을 수록 더 시간을 더 미세한 단위로 인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동물행동학'에 최근 실었다. 보통 사람은 빛이 아주 빠르게 깜빡이면 빛이 ... ...
이전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