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aint
sainte
뉴스
"
세인트
"(으)로 총 207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 쉽게 판독하는 수술용 영상장치
동아사이언스
l
2014.02.16
영상장치를 활용해 수술 중 암세포 위치를 정확하게 찾는 기술이 나왔다. 미국
세인트
루이스 워싱턴대 사무엘 아킬레푸 교수팀은 휴대용 영상표시장치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기술이 적용된 수술용 특수 안경을 개발했다고 ‘생의학 광학 저널’ 최신호를 통해 밝혔다. 이 ... ...
화성 알고보니 생물의 천국?
동아사이언스
l
2014.01.26
발생 이전의 화학적 합성이 일어났을 만한 환경이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미국
세인트
루이스 워싱턴대 레이먼드 아르빗슨 교수팀은 화성정찰위성(MRO) 자료를 통해 37억 년 전에 생긴 ‘엔데버’ 크레이터 가장자리에 철과 알루미늄이 풍부한 점토 광물이 존재한다는 징후를 발견하고 2004년 ... ...
뇌 먹는 아메바, 수돗물에서 검출… “치사율 99%”
동아닷컴
l
2013.09.19
아메바’ 뇌 먹는 아메바가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미국 뉴올리언스 남동쪽에 있는
세인트
버나드 패리시의 상수도에서 뇌 먹는 아메바가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아메바는 코를 통해 사람 몸 안으로 들어가면 뇌조직을 파괴해 위험성이 상당히 크다. 또한 뇌 먹는 아메바의 치사율이 99%인 것으로 ... ...
스파이더맨이 날렵한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9.17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대, 영국 에딘버러대,
세인트
엔드루대 등 유럽 공동연구팀은 동물의 몸 크기가 작을 수록 더 시간을 더 미세한 단위로 인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동물행동학'에 최근 실었다. 보통 사람은 빛이 아주 빠르게 깜빡이면 빛이 ... ...
태양열만으로… 첫 美대륙 횡단 비행
동아일보
l
2013.07.09
이름이기도 하다. 솔라 임펄스는 5월 3일 샌프란시스코를 출발해 피닉스 댈러스
세인트
루이스 워싱턴 등을 지나 이날 65일 만에 뉴욕에 도착했다. 이번 미국 대륙 횡단은 모두 5개 구간으로 나눠 이뤄졌으며 구간당 24시간 이내로 비행했다. 비행하지 않는 기간에는 비행기를 정비하거나 청정기술과 ... ...
친구 따라 강남, 아니 먹이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따라하려는 심리도 작용한다. 그런데 사람들만 이런 유행을 쫓는 것은 아니다. 영국
세인트
앤드류대 루크 렌들 교수팀은 혹등고래가 먹이를 찾는 데 다른 고래의 방법을 그대로 따라한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25일자에 발표했다. 동물도 본능적으로 먹이를 구할 때 친구의 행동을 모방한다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유태계였기 때문에 1939년 나치를 피해 이탈리아를 거쳐 중국 상해행 배에 올랐다. 상해의
세인트
존스대에서 생물학을 공부한 뒤 1947년 미국 시카고대로 가서 저명한 곤충학자 앨프레드 에머슨 밑에서 진디의 형태학적 변이에 대한 통계학적 연구를 수행해 1952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캔자스대를 거쳐 ... ...
이전
17
18
19
20
21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