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불합리
부조화
부조리
자가당착
무논리
비논리성
뉴스
"
모순
"(으)로 총 212건 검색되었습니다.
티라노사우루스도 노아의 방주에 탔을까?
과학동아
l
2015.04.28
달아 놓았지만, 엉터리입니다. 성경 속 이야기를 무리하게 실제 사건으로 만들려다보니
모순
에 빠져 버린 거지요. 그냥 신화로 보고 그게 상징하는 바나 교훈 이야기만 하면 괜찮았을텐데요. 영화도 그냥 영화로 보고 말이죠.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고호관 기자의 ‘완전 까칠한 호관씨’를 ... ...
‘친환경’ ‘유기농’ 인증 제품, 어디까지 믿어야 하나
2015.03.08
대기오염을 유발하는데도 소비자들이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지 못하는 것은
모순
”이라고 지적했다. 또 연구팀은 실제로 제품 라벨을 확인했을 때 대부분의 제품이 방향제로 어떤 물질을 사용하는지 공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세탁제, 공기청정제 등에는 방향제 성분의 포함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04
때문에, 다시금 이 거대한 기계의 스위치 앞에 서서 그동안 스스로가 해왔던 노력과는
모순
된 소망을 품고 있다. 재가동된 LHC에서 표준모형으로 설명할 수 없고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는 현상을 보는 것이다. 그러면 그것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물리학 법칙으로 이끌어 줄 것이고 그로부터 우리는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2015.02.25
없습니다. 대부분의 동물은 폐경기 이후 인간 여성처럼 오래 살지 않습니다. 이런
모순
을 해결하고자 인류학자들은 가설을 세웠습니다. 바로 “노인들이 간접적으로 자손 번식에 도움을 준다”는 ‘할머니 가설’입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할머니들은 직접 자손을 낳지는 않지만 손주들을 돌보는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지구에서 파란 알약이 나왔는데 4년 뒤에 알파 센타우리의 결과가 파란 색이라면 우주가
모순
을 일으키는 셈 아닌가? 양자역학적 상호관계는 빛의 속도보다 빨리 전달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를 다른 말로 ‘관계가 비(非)국소적’이라고 한다. 아인슈타인은 이 때문에 양자역학이 잘못됐다고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더구나 양자역학에 비선형성이 있다면 빛보다 빠른 통신도 가능하다는 이론도 있다(
모순
이라는 뜻이다). 아무튼 양자역학에 비선형성은 없다는 것이 현재 다수 물리학자의 의견이다. 과학동아(일러스트 김정훈) 제공 제공 ● 과연 양자세계에 프랙탈은 있는가 카오스의 프랙탈 구조도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는 그 중 하나만 지나간다. 따라서 입자의 성질대로 줄이 두 개 생기는 것이다. 여기에
모순
이라고는 전혀 없다. 그렇다면 여러 개의 줄무늬는 뭐냐고? 여러 개의 줄무늬를 얻으려면 전자가 지나가는 구멍을 확인하는 관측을 중단해야 한다. 이쯤 되면 물리학자들도 한계에 다다른다. 쳐다보면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③] “수학은 '슈퍼 섹시'한 학문입니다”
과학동아
l
2014.08.01
“수학은 엄격하지만 창의적이고, 어려우면서도 쉽고, 전통적이면서도 혁명적인,
모순
적인 매력이 있다”며 “수학은 ‘슈퍼 섹시(super sexy)’하다”고 말한다. 그는 2010년 세계수학자대회에서 필즈상을 받은 세드리크 빌라니 프랑스 에콜 노말 리옹대 교수이자 이 영화의 주인공이다. ●영화 ... ...
존 벨, 아인슈타인과 보어가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한 물리학자
2014.07.14
‘EPR 역설에 대하여’라는 제목의 이 논문에서 벨은 EPR 논문에서 말하는 양자역학의
모순
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이 가능하다는 걸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벨의 논문은 주목을 받지 못했고 이 저널도 이듬해 폐간됐지만 수년 뒤 몇몇 실험물리학자들이 논문을 재발견하면서 실험을 설계했고 마침내 ... ...
[기자의 눈] 과학자 출신 대통령 바라지도 않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다른 한편에서는 과학을 단순히 경제발전의 수단으로만 생각하며 천대하는 정부의
모순
적인 태도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지적한다. 정부조차 과학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정하지 않으면서 대중에게는 관심을 가져 달라고 하는 건 '어불성설'이란 말이다. 최근 본지 보도(기사 링크: http://bit.ly/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