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불합리
부조화
부조리
자가당착
무논리
비논리성
뉴스
"
모순
"(으)로 총 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스 분석] 슈퍼 엘니뇨로 인한 대가뭄, 4대강으로 막기엔 역부족
2015.10.15
소장은 “환경 사업은 획일적으로 진행하면서 발생한 문제는 스스로 해결하라는 방침은
모순
적”이라며 “지자체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하려면 지역별로 무엇에 취약하고 어떤 인프라가 필요한지 파악해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좁아져 가로로 심도가 깊어지는 것 역시 사냥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앞의 얘기와
모순
이 되는 것 같지만 이 경우는 양안시의 해상력을 높여 효과를 낸다. 즉 양안시는 좌우 두 겹으로 보이는 영상을 겹쳐 입체영상을 만들므로, 가로로 심도가 깊을 경우 더 뚜렷한 입체영상을 얻을 수 있기 ... ...
PART 0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
과학동아
l
2015.08.27
전과 후로 구분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실 미적분의 토대는 불완전하고 의심스러웠으며
모순
이 가득했다. 근대 철학의 아버지이자 해석기하학의 창시자인 르네 데카르트는 '물리학의 모든 대상은 기하학으로 환원된다'고 했다. 기하학은 당시 사람들이 수학과 같은 뜻으로 쓰던 말이었다.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각각 발표된 두 논문에 따르면 뇌 안에도 림프관이 존재한다는 것. 연구자들은 뇌의
모순
적인 면역현상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뜻밖의 발견을 했다. 즉 기존 의학지식에 따르면 중추신경계에는 림프관이 없는데 뇌수막에 둘러싸인 부분에서는 면역세포가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 도대체 이 세포들은 ... ...
그래, 과학은 원래 재미있는 것이었지!
2015.05.17
세상을 바꿀 만한 변화는 불연속적인 계기에 의해 찾아온다고 말한다. 이전의 이론과
모순
되는 것처럼 보이는 혁명적인 연구 결과에 의해 인간이 자연을 이해하는 창이 새롭게 주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간이 얼마간 지나면 새로운 창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정상 과학’의 ... ...
티라노사우루스도 노아의 방주에 탔을까?
과학동아
l
2015.04.28
달아 놓았지만, 엉터리입니다. 성경 속 이야기를 무리하게 실제 사건으로 만들려다보니
모순
에 빠져 버린 거지요. 그냥 신화로 보고 그게 상징하는 바나 교훈 이야기만 하면 괜찮았을텐데요. 영화도 그냥 영화로 보고 말이죠.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고호관 기자의 ‘완전 까칠한 호관씨’를 ... ...
‘친환경’ ‘유기농’ 인증 제품, 어디까지 믿어야 하나
2015.03.08
대기오염을 유발하는데도 소비자들이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지 못하는 것은
모순
”이라고 지적했다. 또 연구팀은 실제로 제품 라벨을 확인했을 때 대부분의 제품이 방향제로 어떤 물질을 사용하는지 공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세탁제, 공기청정제 등에는 방향제 성분의 포함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04
때문에, 다시금 이 거대한 기계의 스위치 앞에 서서 그동안 스스로가 해왔던 노력과는
모순
된 소망을 품고 있다. 재가동된 LHC에서 표준모형으로 설명할 수 없고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는 현상을 보는 것이다. 그러면 그것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물리학 법칙으로 이끌어 줄 것이고 그로부터 우리는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2015.02.25
없습니다. 대부분의 동물은 폐경기 이후 인간 여성처럼 오래 살지 않습니다. 이런
모순
을 해결하고자 인류학자들은 가설을 세웠습니다. 바로 “노인들이 간접적으로 자손 번식에 도움을 준다”는 ‘할머니 가설’입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할머니들은 직접 자손을 낳지는 않지만 손주들을 돌보는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지구에서 파란 알약이 나왔는데 4년 뒤에 알파 센타우리의 결과가 파란 색이라면 우주가
모순
을 일으키는 셈 아닌가? 양자역학적 상호관계는 빛의 속도보다 빨리 전달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를 다른 말로 ‘관계가 비(非)국소적’이라고 한다. 아인슈타인은 이 때문에 양자역학이 잘못됐다고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