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불합리
부조화
부조리
자가당착
무논리
비논리성
뉴스
"
모순
"(으)로 총 212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2016.01.24
공룡이 활동하는 것 자체가 오류처럼 보인다. 알로가 만난 인간 소년 ‘스팟’의 존재도
모순
이다. 스팟의 모습은 현생 인류와 크게 다르지 않다. 속옷까지 만들어 입고 있는 것으로 보아 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늑대처럼 울며, 사족보행을 한다. 무언가를 잡을 ... ...
[토요이슈]“흙수저도 쉽게 금수저 될 수 있다… 게임 속에서”
동아일보
l
2016.01.16
있다. 이처럼 현실풍자 게임은 한국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사회의 불합리와
모순
을 담고 있다. 가상현실이지만 더욱 현실적이기에 사람들은 현실풍자 게임에 더 몰입하게 된다. 황상민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는 “현실세계에서는 같은 일을 하더라도 재력, 학벌 좋은 부모 같은 출신 배경이 좋은 ... ...
[가전체험기] 발뮤다, 겉은 바삭 속은 촉촉 ‘기적의 빵맛’
동아닷컴
l
2016.01.07
기술이 독보적인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상식적으로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이런
모순
된 기술이 과연 가능할까? 빵을 조금이라도 알거나 일반적인 토스터로 구워본 사람이라면 쉽게 납득하기 힘든 이야기다. 말 만들기 좋아하는 광고 카피라이터의 과장된 작품(?) 정도가 아닐까하는 의심도 든다. ... ...
하루 소주 몇 잔이 몸에 이로운 까닭
2015.11.09
이어지기 때문이다. 물론 이건 위험한 해결책으로, 팝스의 작용은 너무 복잡하고 상호
모순
되는 데이터도 많아 섣불리 결론을 내릴 수 없기 때문이다. 역설적으로 이 교수에게 호메시스는 희망의 메시지이기도 하다. 즉 팝스가 만연한 현대사회에서 이를 완전히 없앨 수 없다는 사실에 절망하던 이 ... ...
[인간은 과식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 인간이 과식하면 안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10.30
때문에 췌장의 인슐린 분비가 낮아진다. 분명히 음식을 먹지만 대사적으로는 굶고 있는,
모순
적인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다. GIB 제공 고기를 통해 아미노산과 지방산이 많이 공급되지만, 마치 굶을 때처럼 체지방은 계속 분해된다. 이를 이용한 ‘황제다이어트’가 10여 년 전 유행했다. 요즘 ... ...
[뉴스 분석] 슈퍼 엘니뇨로 인한 대가뭄, 4대강으로 막기엔 역부족
2015.10.15
소장은 “환경 사업은 획일적으로 진행하면서 발생한 문제는 스스로 해결하라는 방침은
모순
적”이라며 “지자체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하려면 지역별로 무엇에 취약하고 어떤 인프라가 필요한지 파악해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좁아져 가로로 심도가 깊어지는 것 역시 사냥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앞의 얘기와
모순
이 되는 것 같지만 이 경우는 양안시의 해상력을 높여 효과를 낸다. 즉 양안시는 좌우 두 겹으로 보이는 영상을 겹쳐 입체영상을 만들므로, 가로로 심도가 깊을 경우 더 뚜렷한 입체영상을 얻을 수 있기 ... ...
PART 0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
과학동아
l
2015.08.27
전과 후로 구분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실 미적분의 토대는 불완전하고 의심스러웠으며
모순
이 가득했다. 근대 철학의 아버지이자 해석기하학의 창시자인 르네 데카르트는 '물리학의 모든 대상은 기하학으로 환원된다'고 했다. 기하학은 당시 사람들이 수학과 같은 뜻으로 쓰던 말이었다.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각각 발표된 두 논문에 따르면 뇌 안에도 림프관이 존재한다는 것. 연구자들은 뇌의
모순
적인 면역현상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뜻밖의 발견을 했다. 즉 기존 의학지식에 따르면 중추신경계에는 림프관이 없는데 뇌수막에 둘러싸인 부분에서는 면역세포가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 도대체 이 세포들은 ... ...
그래, 과학은 원래 재미있는 것이었지!
2015.05.17
세상을 바꿀 만한 변화는 불연속적인 계기에 의해 찾아온다고 말한다. 이전의 이론과
모순
되는 것처럼 보이는 혁명적인 연구 결과에 의해 인간이 자연을 이해하는 창이 새롭게 주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간이 얼마간 지나면 새로운 창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정상 과학’의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