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5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온도에 반응하는 전자잉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04
센서가 감지한 정보는
뇌
의 역할을 하는 프로세서로 전달되어 처리된다. 공동연구팀은
뇌
시냅스에서 일어나는 도파민-글루타메이트 신호 전달 경로를 모방해 윤곽선처럼 명암 대비가 큰 시각 정보만을 골라낼 수 있는 비전 센서를 개발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좌훈승 ... ...
"알츠하이머 원인 단백질 잡는다"…새로운 억제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02
병원성 섬유 응집체 형성이 감소하며 세포 독성이 크게 완화됐다. 시험관 실험에서
뇌
혈관 장벽을 통과하는 능력과 혈장 내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치료와 예방에 활용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나타냈다. 김준곤 교수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구조적 특성을 규명해 안정적인 복합체를 ... ...
짠 음식이
뇌
종양 악화…분자 기전 세계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6.01
뇌
종양을 악화시킬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분자 수준에서 규명한 것”이라며 “향후
뇌
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식이 조절 연구와 장내 미생물 기반 치료 전략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익스페리멘탈 메디슨’에 22일 게재됐다. ... ...
CAR-T치료, 고형암에도 통한다…"역사적인 암치료 전환점"
동아사이언스
l
2025.06.01
연구팀은 CAR-T를
뇌
종양 치료에도 적용한 임상 결과를 ASCO에서 발표한다. 악성
뇌
종양인 교모세포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CAR-T가 종양 크기를 줄이고 생존기간을 늘렸다는 예비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 doi.org/10.1016/S0140-6736(25)00860- ... ...
[동물do감] 반려 고양이, 냄새로 익숙한 사람 구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30
실제로 오른쪽 콧구멍으로 냄새를 맡을 때 우
뇌
가 활성화되는지 확인하려면 고양이의
뇌
를 스캔해야 한다. 연구팀은 "고양이가 냄새로 특정한 사람을 인식할 수 있는지 확인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doi.org/10.1371/journal.pone.032401 ... ...
KAIST 한순규 교수팀, 한국 최초 신렛(Synlett) 최우수 논문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5.30
뇌
질환 치료제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 데바브라타 마이티 신렛 편집장은 “이 논문은
뇌
질환 치료 후보물질로 주목받는 천연물인 4α-하이드록시알로세큐리닌과 시큐리닌 F의 세계 최초 인공적으로 합성한 연구로 그 중요성을 높이 평가해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순규 교수는 ... ...
비영구 얼굴 문신만으로 '번아웃' 알아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30
결과를 낸다”고 말했다. 인지 골디락스 존은 학습이나 정보 등을 처리하는 적정한
뇌
활동 수준을 의미한다. 공항 관제사나 트럭 운전사 등은 정신적 피로도가 높은 직업이며 집중력을 잃었을 때 대형 사고를 낼 수 있는 직업군이다. 정신적 부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 관제사 등이 ... ...
약물 전달 막는 '
뇌
혈관 장벽' 뚫는 혁명 진행중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미국 하버드대 위스연구소 연구원은 네이처를 통해 “고분자 치료제를 치료가 필요한
뇌
부위로 정확히 전달하는 BBB 셔틀 기술은 아직 초기 연구 단계에 있다”며 “하지만 주요 제약 기업들이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어 신경약리학 분야에 혁명을 일으키는 치료제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 ...
박홍근 하버드대 교수 "양자 전문가 그룹 제대로 꾸려야 옥석 가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정확히 알아낼 수 있다. 땅속에서 자기장의 변화로 유전을 찾아내려는 시도도 있다. 또
뇌
파를 자세히 읽는 등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정확하고 빠르게 알아낼 수도 있다." Q. 미국과 중국의 양자과학기술 성숙도를 비교한다면. "양자컴퓨터 분야에서는 먼저 시작한 미국이 조금 앞선 것 같다. ... ...
박문정·고승환 교수 등 6명 2025 리더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5.28
면역반응을 유발했으나, 고 교수의 연구는 살아있는 조직처럼 부드러운 소재를 활용해
뇌
세포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생체친화형 브레인칩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태우 서울대 교수의 '계층적 코어쉘 준양자 결정 광전소자' 연구는 페로브스카이트 광전재료의 최대 난제인 이온 이동에 따른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