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뉴스
"
공전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네이처' 150주년, 지식의 흐름이 드러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9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연구도 드러난다. 올해 노벨상을 수상한 주제인 태양계 바깥 별을
공전
하는 외계행성 발견 논문은 관련 분야 논문 거의 모두와 연결돼 있다. 가장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끼친 논문 중 하나는 오존층 구멍의 발견이다. 화학, 사회과학, 지구과학 등 여러 분야 연구가 이 논문을 ... ...
양성자 크기를 둘러싼 10여년 물리학 논쟁 종지부 찍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1.09
그동안 양성자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2가지 방법을 활용했다. 하나는 전자가 원자핵을
공전
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원자핵을 도는 전자 중 일부는 원자핵의 양성자를 통과한다. 이 때 양성자의 크기는 전자가 원자핵과 얼마나 강하게 결합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최신 분광법을 활용해 전자의 ... ...
심혈관계 질환 예방하는 비타민 K2 분석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식품 등의 표시기준’ 가이드라인에 따라 표기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
공전
일반시험법’에 비타민 K1과 D2, D3 분석법은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심혈관계 질환 예방 및 칼슘 흡수율 증가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 비타민 K2에 대한 분석법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 그에 따라 실용적인 ... ...
11월 놓쳐서는 안될 우주 이벤트 세 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지름인 약 30분보다 가깝다. 실제로 금성과 목성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 것은 아니다.
공전
궤도 위에서 지구와의 상대적인 각도가 우연히 맞아떨어지며 이런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 ...
태양보다 3.3배 무거운 초소형 블랙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2MASS J05215658+4359220’가 숨겨진 천체를 안고 있는 쌍성계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별의
공전
주기와 그에 따른 별 밝기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금까지 발견된 블랙홀보다는 작으나 중성자별보다는 큰 질량의 천체와 쌍성계를 이뤄야 가능한 수치임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틸링해스트 반사 격자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케플러의 행성법칙
2019.10.31
케플러가 왜 조화의 법칙을 가장 사랑했는지 이해할만하다. 제3법칙을 활용하면 행성의
공전
주기만으로도 궤도장반경을 알 수 있다. 케플러의 법칙은 경험법칙이라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를 알지는 못했다. 거꾸로 케플러의 법칙 덕분에 행성운동을 지배하는 근본법칙을 후대에 알게 되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특히 케플러가 주력한 행성은 화성이었다. 브라헤의 데이터로부터 화성의 정확한
공전
궤도를 알아내기 위한 케플러의 노력이 얼마나 처절했는지 여기에는 ‘화성의 전투’라는 별칭까지 붙었다. 케플러는 철저한 플라톤주의자였기 때문에 행성의 궤도가 원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 플라톤에 ... ...
외계 행성에서 수증기 존재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10.15
‘네이처 천문학’ 9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지구에서 약 111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K2-18을
공전
하는 K2-18b는 지구보다 8배가량 큰 질량을 갖고 있으며, 대기가 있는 암석 행성 또는 얼음 행성인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얻은 분광 데이터를 이용해 K2-18b의 대기 조성을 분석했다. 그 ... ...
지구 충돌 막아라… 적외선 망원경으로 소행성 감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문 책임연구원은 “네오캠이 라그랑주 L1점에 놓이면 지구
공전
궤도보다 안쪽을
공전
하는 소행성들을 포함해 어두운 소행성까지 굉장히 많은 소행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내에서도 올해 ‘제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에 제시된 미래 소행성 탐사 임무를 기획하고 설계하는 데 ... ...
우주 탄생부터 일상의 혁신까지… 인류의 미래 밝힐 위대한 발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가스행성임에도 별 주변을 4.2일에 한 번씩
공전
한다는 점이 더 놀라웠다”며 “목성의
공전
주기가 12년에 이르는 것을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속도”라고 말했다. 그 대신 별과 행성 사이 거리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20분의 1에 불과했다. 오 선임연구원은 “다른 학자들이 외계행성계가 태양계와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