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뉴스
"
공전
"(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와 가까지워지며 급격히 빛 잃은 '아틀라스 혜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4.29
아틀라스 혜성의
공전
궤도 및 현재 위치(4월 29일 기준), NASA JPL 제공 아틀라스 혜성의
공전
주기는 약 6000년으로 현재 금성과 지구 궤도 사이에 있다. 5월 23일 지구에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 다가오고 5월 31일 태양에 가장 가까워지는 근일점을 통과했다가 태양계 외곽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보인다. ... ...
달 뒷면에 천문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NASA 제공. 달 뒷면은 오랜 기간 인류에게 미지의 세계로 남아 있었다. 달의 자전 속도는
공전
속도와 같아서 달은 항상 지구에 앞면만을 보여준다. 지난해 1월 3일 중국의 무인 달탐사선 ‘창어4호’가 달 탐사 로봇 ‘위투(옥토끼)’를 착륙시키기 전까지 인류가 50년 넘게 시도한 달 탐사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전염병은 왜 계절을 탈까?
2020.03.31
습도가 비슷하다고 해도 결정적인 차이가 하나 있다. 바로 낮의 길이다. 지구의 자전축은
공전
면에 수직이 아니라 약간 기울어져 있어 적도를 제외하면 1년 동안 낮과 밤의 길이가 바뀌는데, 위도가 높아질수록 편차가 심하다. 북위 35° 내외인 우리나라는 하지의 낮(일출 일몰 기준)이 밤보다 5시간 ... ...
천리안2B호 사업단장 "천리안1호 개발 때 서러움 다시 겪지 말자는 각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온 대표적 위성 전문가다. 1996년부터는 우주 3만 6000km 상공에서 지구와 같은 속도로
공전
하며 지상의 한 지점을 집중 관측하는 위성인 정지궤도위성의 개발을 주도해 왔다. 2018년 4월부터는 정지궤도복합위성사업단장을 맡아 그 해 말 역시 기아나우주센터에서 발사된 기상관측 정지궤도위성 천리안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
과학동아
l
2020.02.15
적도 상공 3만6000km에서는 하루에 한 바퀴씩 지구 자전 속도와 같은 속도로 지구를
공전
하며 지구를 볼 수 있다. 덕분에 언제든 한 지역만 바라본다. 현재 적도 상공 동경 128.2도에서 한반도를 바라보고 있는 정지궤도위성은 총 2기다. 2010년에 한국 최초로 발사된 정지궤도위성인 천리안 1호와 201 ... ...
‘방·단 갑옷’ 입은 태양 극지 탐사선, 600도 고열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이 함께 개발한 솔라 오비터는 앞으로 3년에 걸쳐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인 수성의
공전
궤도 안쪽까지 진입한 다음 본격적인 임무에 들어간다. 인류가 보지 못하던 태양 북극과 남극에서 일어나는 태양 자기장 변화, ‘플레어’ 등 태양 표면 폭발 활동, 폭발 과정에서 방출되는 입자 분석 ... ...
태양 탐사선 '솔라 오비터' 발사 성공..."태양 남북극 관측 첫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태양 탐사선이 태양의 적도 위에서 태양 주변을
공전
했던 것과 달리 비스듬한 궤도면을
공전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그 동안 직접 관측하지 못했던 태양의 북극과 남극 지역을 자세히 관측한다는 계획이다. 솔라 오비터는 이날 발사 이후 여러 차례 행성의 중력도움(플라이바이)을 받아 궤도를 ... ...
수성보다 더 가까이서 태양 지켜볼 우주망원경 금주 발사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태양 탐사선이 태양의 적도 위에서 태양 주변을
공전
했던 것과 달리 비스듬한 궤도면을
공전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그 동안 직접 관측하지 못했던 태양의 북극과 남극 지역을 자세히 관측한다는 계획이다. 솔라 오비터는 10일 발사된 이후 여러 차례 행성의 중력도움(플라이바이)을 받아 궤도를 ... ...
달 뒷면 착륙1년 맞은 '옥토끼'…"지금도 탐사中"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이유는 달의 뒷면과 지구 지상과의 직접 교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구에서는 달의
공전
주기와 자전주기가 약 27.3일로 동일해 항상 달의 앞면만 보인다. 중국국가항천국(CNSA)은 달과 지구 사이에 오작교를 의미하는 ‘췌차오’라는 이름의 통신중계위성을 띄워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후 1년이 ... ...
굿바이 2019, 과학동아 선정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12.30
모습이 공개된 이후 다시는 인류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곳이었습니다. 달의 자전주기와
공전
주기가 27.3일로 같아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앞면만 보이고, 달 뒷면에 탐사선을 보내면 지구와 직접 교신을 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통신 중계를 위해 오작교라는 뜻의 인공위성 ‘췌자오’를 쏘아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