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뉴스
"
개
"(으)로 총 20,605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연 참여 국제공동연구진 "암흑에너지 점점 줄어…표준모형 수정해야 할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ㅜ현재 총 5년 중 4년차 관측을 수행 중인 DESI 연구진은 프로젝트가 끝날 때까지 약 4000만
개
의 은하와 퀘이사를 측정할 계획이다. 루알만 책임연구원은 “우리는 현재 암흑에너지가 우주상수가 아닐 수도 있다는 엄청난 발견의 시작을 보고 있다"면서 "발견은 우주론의 표준 모형을 바꾸고, 이론 ... ...
저전력으로 지하철 터널 초미세먼지 제거…"국민 편익 위한 기술
개
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20년 이상 정전기술을 연구해 온 기계연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미세먼지 저감기술을
개
발했고 2년간의 실증을 통해 그 안정성과 효과를 입증했다"며 "더 많은 공공시설에 확대 적용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
사흘 뒤에야 비 온다…강풍·건조·고온 3중고 '산불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의성, 울산 울주 등에서 발생한 전국 42곳의 산불로 23일까지 총 4명이 숨지고 축구장 1만900
개
크기의 숲이 사라졌다. 건조한 대기와 강풍이 잦아들지 않으면서 진화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24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부터 전국에 순간풍속 시속 55㎞ 안팎의 강풍이 불겠다. 산지는 순간풍속이 시속 ... ...
빛의 미세한 변화, 메타표면 이용해 실시간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연구팀의 기술은 메타표면을 통해 서로 다른 편광을 가진 두
개
의 빛을 분리하고 이들이 카메라의 서로 다른 위치에 동시에 도달하도록 만든다. 두 빛의 상대적 위치 차이를 분석해 광스핀홀 효과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프리즘에서 반사된 빛을 ... ...
'터미네이터 T1000' 로봇처럼 좁은 틈 통과하는 '액체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걸음 더 나아가 음파나 전기장을 사용해 액체 로봇의 모양을 자유자재로 바꾸는 기술을
개
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선정윤 교수는 "액체 로봇이 향후 산업 현장에서 보다 널리 활용되도록 재료의 기능성을 더 높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doi.org/10.1126/sciadv.adt5888 ... ...
"민간기업 주력하는 '소형 재사용발사체' 경제성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스페이스X의 ‘팰컨9’ 1단이 해상 바지선에 착륙하는 모습. 스페이스X는 1단 로켓을 회수해 재사용한다. 스페이스X 제공 국내 우주기업이
개
발을 추진하고 있는 '소형 재사용 ... 경제성에 대한 충분한 연구를 바탕으로 기업이 목표를 설정해야 체계적으로
개
발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 ...
'정치 격랑'의 3월 마지막주, 의대생 복귀 데드라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3.23
규모 '전원 수준'의 정확한 수치를 명확하게 언급하지는 않았다. 말 그대로 인원 100%의
개
념이라기보다는 정상적으로 수업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또 의대생이 복학 후 정상적으로 수업에 참여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단순히 제적을 피하기 위해 복귀했다면 최소 학점만 ... ...
법 시행 날
개
단 '재생의료'…'제2의 인보사 사태' 막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3.23
최동호 한국줄기세포학회 이사장이 21일 코엑스 아셈볼룸에서 열린 '메디컬 코리아 2025' 콘퍼런스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문세영 기자. 줄기세포 치료, 유전자 치 ... 논의, 창의적·혁신적 병원·기업 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사회적 경비 감소 등 지속 가능 모델
개
발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
12·3 계엄 그후 '명령에 따랐을 뿐?'…책임감·죄책감이 사라질 때
과학동아
l
2025.03.22
솔직히 21세기가 20세기보다 더 나은 사회라고 말할 수는 없을 거 같아요." 대
개
축적된 지식은 사람들로 하여금 오늘날이 과거보다 발전했다고 믿게 한다. 하지만 안다는 것이 우월감을 줄 순 있지만 실천과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다. (왼쪽부터) 2025년 2월 5일 에밀리 캐스퍼 벨기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전자 2배로 늘려 몸집 키운 효모
동아사이언스
l
2025.03.22
관찰했다. 실험을 시작한 이후 50일도 되지 않아 4배체
개
체가 발생했고 4배체 집단 10
개
는 950일간 5000세대 가까이 지속됐다. 생물물리학적 모델링 등을 통해 분석한 결과 4배체는 더 크고 긴 세포를 만들었다. 눈송이효모가 배양된 환경은 몸집이 클수록 생존에 유리하다. 4배체가 효모의 몸집을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