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놀랍다”면서 “그러나 그것은 규칙에서 어긋난 사건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연구 결과는 우주론의 표준모형이 우주에서 가장 놀라운 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 ...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반쪽이 지평선 아래에 가려지기 때문입니다. 지평선 아래에는 나머지 반쪽이 있고, 우리 눈에는 지평선 위의 반쪽만 보이니까요. 사실 브로켄 현상은 일반적인 무지개와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무지개의 경우 빛을 굴절시킬 물방울 외에 무지개가 비쳐 보일 곳이 꼭 필요하지는 ... ...
- [커리어] 매일 전기 1kWh를 아끼면 무슨 일이? 지역 청소년 에너지 교육 '2023 신바람 에너지 스쿨 '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깨닫다 “에너지는 언제나 우리 곁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에너지 위기를 체감하기가 어렵습니다. 에너지 위기는 지금도 심각하지만, 지금의 청소년 세대가 살아갈 시대는 더욱 심각해 질 거예요.” 김 강사는 에너지 위기는 인류가 넘어야하는 큰 산이라고 강조했다. ... ...
- 이것도 수학이야? 별난 이름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때로는 기묘하게 이름을 지었다. 가끔은 ‘이런 것도 수학적으로 따져봤다고?’라며 우리가 보기엔 전혀 수학적이지 않은, 수학과 연관 지어 생각하면 별나기만 한 상황을 연구한 것도 있다. ‘별난 수학’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이것도 수학이야? 별난 이름 ... ...
- 문제 풀다 눈 맞아 결혼! 해피엔딩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안에 어떤 두 점을 선택해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 그 직선이 사각형 안에만 존재하면 우리가 아는 사각형 형태가 되는데, 이를 ‘볼록 사각형’이라고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목 사각형’이라고 한다. 클라인이 제기한 문제와 그 해법 1932년 클라인은 적어도 점을 5개 찍어야 볼록 사각형을 ... ...
- 푸딩 쏙 빼닮은 블랑망제 함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이름이 훨씬 더 재밌다!’ 이름과 다르게 블랑망제 함수식은 매우 복잡하다. 하지만 우리는 이 식을 풀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의미가 있는지만 알아볼 것이니 걱정은 붙들어 매자. 먼저 미분이란 그래프를 아주 잘게 쪼갰을 때 그래프가 어떻게 변하는지 계산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 ...
- 피자 먹을 때 나도 모르게 수학한다! 빼어난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접는다. 그러면 늘어진 피자 앞부분이 똑바로 펴진다는 걸 안다.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우리가 자연스럽게 했던 이런 행동에 수학 원리가 담겨 있다. 피자 반죽이나 비닐봉지 같은 얇은 물체의 한쪽을 잡고 든다고 할 때, 한쪽이 구부러져 늘어지는 건 아주 쉬운데, 반면 꼿꼿하게 펴기는 매우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있어요. 수학의 결과만큼이나 중요한 건 수학의 소통과 전달이고, 그 덕분에 지금 우리도 수학을 배우고, 다음 세대로 또 전할 수 있지요. 제가 어렸을 때 수학에 처음 관심을 갖게 된 것도 수학자의 이야기를 통해서였어요. 이후 학창시절에 만난 수학자 덕분에 수학의 길을 걷게 됐고, 그동안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일기를 써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답답하기도 하죠. 그래서 준비한 이번 주제는 ‘디지털 미디어로 일기 쓰기’입니다. 우리 함께 재밌고 즐거운 일기 쓰기에 도전해 볼까요? 재밌고 신나게 디지털 일기 쓰는 법을 소개합니다! 사람들은 흔히 종이로 된 공책이나 수첩에 일기를 써요. 종이 일기는 디지털화된 글씨가 아닌 나만의 ... ...
- [과학동아 X 서울시립과학관] 공간과 콘텐츠의 연결 과학동아를 과학관에서 만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2층에 있는 B전시실 내부의 ‘허블 1929’ 공간에서 만날 수 있다. 1929년은 허블이 우리은하에서 멀리 떨어진 외부 은하일수록 더 빠르게 멀어진다는 ‘허블-르메트르 법칙’을 발견한 해이다. 이러한 법칙은 과학자들이 둘러앉아 토론하고 논쟁을 펼치는 과정을 통해 발전돼 왔다. 그래서 ‘허블 192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