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제"(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보면 악당들이 귀 뒤에 칩을 이식하고 레이저로 봉합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런 일이 실제로도 가능하다는 뜻이다. 한세광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빛으로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해 2017년과 2022년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doi: 10.1021/acsnano.7b04153, doi: 10.1038/s41377-022-01011-3 빛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서로를 안았습니다. 모든 사람이 포옹을 4번씩 했지요. 이게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실제 예를 들어서 가능함을 보이고 불가능하다면 불가능함을 증명해주세요. 챗GPT 이 문제는 그래프 이론을 사용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각 사람을 정점으로 나타내고, 두 사람이 포옹한 경우를 선으로 ... ...
- 물리적으로 그네타는 궁극의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효과는 있지만 실제 동작으로 구현할 경우 매우 부자연스럽다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실제 사람이 그네를 타는 동작을 분석하고자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10명의 관절에 각각 센서를 부착하고 각 단계마다 수행하는 동작을 슬로우 모션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그네를 타기 ...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연결해서 신경 회로를 만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은 바이오컴퓨터에 실제 뇌 같은 신경 회로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 될 것이다. 위 두 가정에서 상상력을 더해 인간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바이오컴퓨팅과 동물의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바이오컴퓨팅을 비교해 보는 것도 흥미롭다. 인간 ... ...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만들어 크기에 따른 성능도 비교했습니다. 작은 시제품에서는 성능이 좋아도, 현실의 실제 크기로 만들면 성능이 크게 저하돼 실용화가 힘든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모터 직경이 각각 0.75, 1.5, 3인치(1인치는 2.54cm)인 로켓의 성능을 비교해서 크기에 비례한 성능 향상을 확인했습니다. 정리하면 ...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둔 기하학을 배우기 때문에 유클리드 기하학의 원리가 자명해보일 거예요. 하지만 실제 우리가 사는 세상은 곡면이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유클리드 기하학이 아니라 비유클리드 기하학이 세상을 더 잘 설명해요. 그러므로 평행선 공준을 증명하기 위해 발상을 전환한 일이 우리의 세계를 더 잘 ... ...
- [에디터 노트] 그저 그렇지 않은 화성 이야기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통해서 멋진 화성 이미지도 이미 많이 알려졌고, 다른 매체에서도 기사를 자주 내다보니 실제 전독위 위원 중에는 “화성이 망하면(?) 그다음 후보지는 어디냐”고 묻는 분도 있었습니다. 독자들의 눈높이와 기대치가 높기에, 쓸 얘기는 많지만 잘 쓰기가 어려운 주제가 바로 화성입니다. 화성 표지 ... ...
- 습도 따라 모양 바뀌는 4D 프린팅 씨앗 로봇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팽창하도록 폴리에틸렌 산화물을 첨가해 씨앗 로봇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로봇은 실제 토양에서 주변 습기를 흡수해 모양을 바꿀 뿐만 아니라, 토양의 거친 정도와 갈라진 틈에 맞춰 형태와 자세를 조정했다. 로봇이 모양을 바꾸면서 이동할 수 있고, 토양 틈에 위치를 고정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 ...
- 프로야구 순위 경쟁, 게임 체인저는 여름?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진행된 메이저리그 경기에서 투구 위치, 심판의 판정 등 1만 8907개 데이터를 수집한 뒤 실제 투구 결과와 비교했다. 투구가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는 메이저리그의 투구 추적 기술을 통해 확인했다. 그리고 판정 정확도에 심판의 나이, 경력, 기온 등 어떤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는 회귀분석을 통해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언어였다. 이 언어는 컴퓨터가 직접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언어다. 물론 컴퓨터가 실제 숫자를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0과 1은 전기 신호의 있고 없음을 나타낼 뿐이다. 때문에 언어를 따로 번역하는 절차가 필요없었다. 기계 언어는 호환성도 없다. 특정 명령문을 기계 언어로 바꿔 하나의 CPU를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