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강의"(으)로 총 1,2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드게임 즐기고, 수학으로 떠들자! 보드게임 페스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때문에 어떤 카드로 조합을 만들지 열심히 머리를 굴려야 하죠. 게임을 시작하자 금세 강의실이 시끌벅적해졌어요. 서로 가위바위보를 해서 게임 순서를 정하고, 카드를 이리저리 돌려 보면서 1, 2, 5, 8 조합을 만들기 바빴죠. 서라율(대치초 5) 학생은 “게임을 하면서 깊게 생각해 보지 않았던 수학 ... ...
- 이 시각 MIT에서는? ‘위대한 적분가’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누가 아이디어를 먼저 떠올려 문제를 풀지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지켜봅니다. 비록 강의실 안에서 칠판과 분필만 가지고 치르는 대회지만, 올림픽 경기를 방불케 합니다. 적분 대회 결승전에 100명이 넘는 관중이 찾는 것만 봐도 얼마나 흥미진진한지 알 수 있겠죠? 첫 번째 ‘위대한 적분가’의 ... ...
- [통합과학교과서] 범인은 바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단풍이랑 내가 아픈 거랑은 크게 상관없다 이거지?”늑대가 뻘쭘한 표정으로 한바탕 강의를 마친 꿀록에게 되물었어요.“그렇죠! 그러니까 맘 약해지지 말고 이상한 미신에 빠지지 말아요!”범인을 찾았지만, 꿀록의 마음은 편치 않았어요. 오히려 병실에 누워있는 늑대의 모습을 보니 살짝 애잔한 ... ...
- [통합과학교과서] 날벼락을 피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지역에 1년 동안 평균 250번 정도의 벼락이 떨어지지요. 이 현상을 가까운 곳을 흐르는 강의 이름을 따서 ‘카타툼보 번개’라 부르기도 해요. 그런데 올해 9월, 보통보다 강력한 ‘슈퍼번개’는 다른 지역에 떨어 진다는 연구가 발표되었어요. ‘슈퍼번개(superbolt)’는 100만 줄(J)이 넘는 에너지를 ... ...
- [현장취재] 스파이더맨들 모여라! 거미 특별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포식동물로 해충을 잡아먹는 익충이기도 해요.” 포충망을 휘두르면 거미가 쏙~!강의 후 직접 거미를 관찰하기 위해 밖으로 나섰어요. 오늘 탐사의 목표는 박물관 주변 산에 사는 ‘한국땅거미’! 김대희 연구원이 대원들에게 한국땅거미에 관해서 설명했어요.“한국땅거미는 우리나라에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책임자이자 국제우주대학(ISU)의 방문교수였던 그와 ISU 교육프로그램에서 함께 강의를 한 것이 계기였다. 그는 첫 만남부터 친근했다. 겉으로는 성격이 나와 반대인 것 같았지만(항상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이야기하고 웃기 때문에 어디서든 찾기 쉽다는 말을 듣는 나와 달리, 무카이 박사는 ... ...
- [중국유학일기] 한국보다 짧은 방학 ‘알바’ 대신 ‘열공’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공부도 완전히 손을 놓을 수는 없어 틈틈이 해야 한다.어쨌든 방학이 시작되면 잠시라도 강의와 과제, 시험의 압박에서 벗어나 쉴 수 있어서 신이 난다. 그리고 설레는 마음으로 이것저것 계획을 세우곤 한다. 그런데 방학이 끝난 뒤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면, 중국 학생이나 한국 학생이나 ...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제조해 사용했다고 합니다. 특별한 방법이라고 에둘러 말한 건 17세기에 다마스쿠스 강의 제조가 중단된 이후 학계에서 그 제조 방법을 아직 복원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다마스쿠스 강이 특별한 이유는 바로 화려한 무늬 때문입니다. 선들이 꼬불꼬불 뒤엉킨 물결무늬가 다마스쿠스 강 전체에 ... ...
- [과학뉴스]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휘지 않고 유지되게 만든 셈이다.파세나 교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맨틀의 흐름이 강의 물줄기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규명했다”며 “만약 맨틀의 흐름이 없었다면 나일강 물줄기는 북서쪽으로 휘어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61-019-0472 ...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곳은 축구장이 아닌 대전 KAIST 학술문화관 정근모홀. 축구장은 스크린이, 관람석은 강의 테이블이 대신했다. 올해로 2회를 맞은 KAIST ‘AI 월드컵 2019 국제대회’를 직접 관람해봤다. 선수는 5명, 전·후반 10분 경기올해 대회에는 11개국에서 21개 팀이 참가했다. 이 가운데 한국, 미국, 브라질 등이 1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