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강의"(으)로 총 1,2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보드] “로봇은 여러분의 일자리를 뺏지 않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그날 500명이 넘는 사이언스 보드 멤버들이 라이브 방송에 참여했습니다. 오 교수님의 명강의도 듣고, 로봇에 대해 궁금했던 것들을 채팅으로 물어보고 답변도 들을 수 있었는데요. 오 교수님이 어떤 얘기를 했는지, 그리고 멤버들의 질문에는 어떤 답변을 내놨는지 하이라이트로 다시 한번 짚어 ... ...
- [가르친당 기호4 쌤킴] 백년대계 지름길은 과학 공교육 강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2~3년 그리고 4~5년이 되면 국가에서 집합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선배 과학교사들의 강의를 듣고 수업의 노하우를 참고하라는 취지다. 여기까지는 모두가 대체로 만족했다. 문제는 이후 진행되는 학술대회나 포럼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경상남도의 한 중학교에서 근무하는 D 과학교사는 ... ...
- "내가 감염병 역학조사관이 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정착될 수 있도록 아주대 보건대학원에서 감염병 역학과 국제보건을 주제로 학생들에게 강의도 하고 있다.이런 일을 나는 융합과학의 한 분야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린 시절 꿈이었던 과학자가 되지는 않았지만, 과학동아와 함께했던 어린 시절의 경험이 나에게는 큰 자산이라고 믿는다 ... ...
- [독일유학일기] 단체 활동의 ‘무덤’인 독일에서 즐거움을 찾는 법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체스를 하거나 트럼프카드 게임인 스카트와 도펠코프(Doppelkopf)를 하고 놀았다. 교수가 강의자료를 주지 않은 과목의 자료 만드는 일도 이들에게는 흥미로운 놀이였다. 프로그래밍이나 숙제로 주어진 문제를 풀면서 혼잣말을 하거나, 같은 문제를 20~30분간 노려보는 친구들도 많았다. 물론 전공의 ... ...
- [독일유학일기] 8학기 만에 졸업하면 ‘선방’ 어렵기로 악명높은 자연계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교수 지도하에 한 주제를 심도 있게 파고드는 세미나(Seminar)다. 이처럼 수학과 학생들은 강의 외에도 해야 할 게 참 많다. 물론 출석체크도 안 하고, 시험도 1년에 한 번만 보니 수업에 들어오지 않고 시험만 보는 학생들도 있다. 그래서 한 학기 중에 3개월 동안 놀고 3개월 동안 공부하는 일명 ‘3-3 ... ...
- 수학 못하면 용접이나 하라고? 용접하려면 수학이나 배우고 와!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사실 사회 전체의 잘못된 인식에 경종을 울린 사건이기도 해요. 유튜브에 용접 수학 강의를 올리는 ‘북경팬더’는 “어릴 때 ‘공부 안 할 거면 공장이나 가’라는 말을 많이 들었다. 이제는 그런 인식이 사라질 때가 됐다”고 말했어요. 여러분도 혹시 기술직에 대한 오해가 있었다면 이번 기회에 ... ...
- [이달의 수학자] 3월 차별을 뛰어넘은 수학자, 에미 뇌터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당시 여성의 대학 입학이 허락되지 않았기 때문에 학생이 아닌 신분으로 약 4년 동안 강의만 들었는데, 다행히 1904년에 여성의 대학 입학이 허락되면서 에를랑겐대학교 수학과에 정식 학생으로 등록했습니다. 그리고 3년만인 1907년에 박사학위를 받았죠.이때부터 뇌터는 뛰어난 업적을 내놓으면서 ... ...
- [일본유학일기] 도쿄대의 독특한 수업들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게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미적분학을 넘어 해석학까지 연결된 방대한 내용을 강의하고 있었다. 이때 나는 진지하게 수학과로 전공을 바꿀 고민을 할 정도로 아스케 교수님 수업에 푹 빠졌다. 결과적으로는 전자정보학과에 진학했지만, 이때 익힌 수학적 감각들은 전공공부를 하는 데 기본기로 큰 ... ...
- [동아리탐방] 미적분 공부하며 함께 성장한다, 경기북과학고 Limes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학교를 벗어나 ‘수학을 어려워하는 모든 학생을 위한 세미나를 열자’는 취지로 수학 강의를 영상으로 만드는 활동도 추가했다. 이렇게 2019년에 만든 영상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했다. 지난해 2학년 기장을 맡았던 이주연 학생은 “교재를 화면에 띄우고 설명하거나 PPT로 ... ...
- 보드게임 즐기고, 수학으로 떠들자! 보드게임 페스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때문에 어떤 카드로 조합을 만들지 열심히 머리를 굴려야 하죠. 게임을 시작하자 금세 강의실이 시끌벅적해졌어요. 서로 가위바위보를 해서 게임 순서를 정하고, 카드를 이리저리 돌려 보면서 1, 2, 5, 8 조합을 만들기 바빴죠. 서라율(대치초 5) 학생은 “게임을 하면서 깊게 생각해 보지 않았던 수학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