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득
수입금
수입
추수
거두어 들이기
가을걷이
이득
d라이브러리
"
수확
"(으)로 총 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10
키도 20%나 커졌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오이와 같은 작물채소에게 음악을 들려줌으로써
수확
을 증가시키고 있다. 불규칙하고 강한 자극은 세포에게 일종의 스트레스가 되지만, 규칙적이고 부드러운 자극은 식물세포의 성장을 자극하게 된다. 결국 사람과 마찬가지로 식물 역시 클래식음악에서 ... ...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09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단백질체학 연구를 공동 진행중이다.생물학 역사상 가장 많은
수확
을 거둘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세계 각지의 많은 생명과학자가 인간게놈프로젝트에 매달려 수만개의 인간유전자를 발견하며 해독하고 있다. 대부분의 유전자는 단백질을 만들기 위한 ‘지침’을 갖고 ... ...
달콤한 물을 마시다!
과학동아
l
200107
과학 뒤집기’시리즈의 제2권 ‘달콤한 물을 마시다!’. 이 책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수확
은 ‘물’이라는 주제를 갖고 이렇게 다양한 이야기를 할 수 있다는 발상의 전환과 그를 통해 사고의 지평을 넓힌다는데 있지 않을까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04
심한 바람으로 벼잎에 난 작은 상처를 통해 침투해 염록소를 파괴하기 때문에 심할 경우
수확
량이 20-30%나 줄어든다. 연구자들은 게놈을 분석해 질병이 일어나는 원인을 밝히면 이 박테리아에 저항성을 갖는 벼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올해 초 생명공학연구원과 공동으로 위장병을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01
집안이 망한다고 걱정했다. 선조들은 구렁이의 습성을 잘 알고 있었던 듯하다. 땀 흘려
수확
해놓은 양식을 먹어 치우는 쥐를 1년에 1백여마리를 잡아먹기 때문에 숭상했던 것이 아닐까.구렁이는 쥐가 지나간 발자국을 추적해 집안에 살고있는 쥐들을 모조리 잡아먹는다. 그래서 구렁이가 살고 있는 ... ...
마음의 눈을 뜨지 못하는 자폐증 환자, 레인맨
과학동아
l
200101
발생했다는 사실이다.그러나 무엇보다도 지난 10년간 과학자들이 알게된 가장 중요한
수확
이라면, 자폐증이 기질적인 이상이 없는 단순한 ‘마음의 병’이 아니라,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문제가 있는 질환’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는 점이다.사망한 자폐증 환자 뇌 구조를 조사한 바에 ... ...
Ⅲ. 추석달이 1년중 가장 멋진 달일까
과학동아
l
200009
않았다.우리나라도 1년중 가장 풍족한 때는 9월이 아니라 10월 상달이며,이때 1년
수확
을 기뻐하고 조상신에게 제사도 지내고 사냥도 했음이 고대사에 전한다.서양에서도 10월의 보름달을 사냥꾼달(hunters moon)이라고 불렀음이 우연이 아니다.우리 겨레만큼 추석을 그리 중요하게 여기는 민족은 별로 ... ...
② 농업 : 슈퍼옥수수와 씨감자
과학동아
l
200007
1ha당 20t 정도를
수확
할 수 있다. 북한에서 인공씨감자를 통해 1ha당 20t 정도만
수확
하더라도 지금보다 약 2배의 증산효과를 내는 것이므로 식량난 극복은 어렵지 않다.다행히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감자를 통해서 공화국의 식량난을 해결하겠다”고 공언할 정도로 감자에 관심이 크고, 이번 ... ...
① 기상 : 날씨 첫 교신 '쾌청'
과학동아
l
200007
금강산 관광을 위해 금강산과 주변 지역의 기상을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농작물의 최대
수확
량은 지역의 기상과 기후 조건에 의존한다. 옥수수와 감자 같은 농작물의 종자를 개발하기 위해서도 기상조건을 파악하는 것은 1차적인 일이다.이에 덧붙여 박순웅 교수는 북한에 민간 차원의 공단이 ... ...
가장 좋은 자·가장 좋은 음악
과학동아
l
200004
방법은 한서(漢書) 율력지(律曆志)에서 잘 볼 수 있다.곡식으로 재배하는 기장을
수확
해 평균적인 크기의 낱알을 취한다.원주의 길이가 9분(分)인 대나무관을 준비한다(엄밀하게는 분 단위가 먼저 정해져야 하지만 관습적인 값을 따른다).이 관 속에 기장 알을 채운다. 1천2백알을 채우고 나머지를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