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득
수입금
수입
추수
거두어 들이기
가을걷이
이득
d라이브러리
"
수확
"(으)로 총 404건 검색되었습니다.
노 대통령은 발명왕?
과학동아
l
200406
성공하기도 했다. 한편 지난가을에는 감 따는 장비를 개발, 청와대 관저 주변의 감을
수확
했다고.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이 5월 19일 발명의 날을 맞아 청와대 홈페이지의 ‘대변인이 만난 대통령’ 코너에 이런 내용을 실었다. ‘발명가 대통령의 미완의 사업’이란 제목의 글에서 윤 대변인은 노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06
울릉도 어촌계의 관계자는 “5년 전에 비해 전복 해삼 성게 소라 같은 해양 부착동물들의
수확
량이 3분의 1로 줄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필자는 울릉도 연안을 배로 한바퀴 둘러보고 난 뒤에야 그분의 말을 이해할 수 있었다. 수중뿐만 아니라 연안의 암반은 하얀 띠로 둘러 싸여 있었고 암반 위에 ... ...
꽃피는 시기조절 유전자 한국인이 규명
과학동아
l
200402
함으로써 봄에 밀을 심어 늦여름에
수확
할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옛소련의 밀
수확
량이 엄청나게 늘어날 수 있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농작물의 춘화처리 과정을 개선시켜 생산량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또한 네이처는 인간을 포함한 다른 생물에서 발견되는 유사한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01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상대성이론을 기사로 전달하느라 애를 먹던 기자들도 뜻밖의
수확
에 만족했다. 아인슈타인도 자신의 재치에 흐뭇해했을 것이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비유가 상대성이론과 관계가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물리학의 시간 개념을 비판하는 철학자들의 주장이라는 사실을 ... ...
갈림길에 선 낙동강 하구
과학동아
l
200401
4개의 낙동강 둔치 중 대저염막은 논농사를 짓는 유일한 곳이다. 대저염막 농민들은 벼를
수확
한 논에 물을 넣어 담수 무논을 만들어 이곳을 찾는 오리, 기러기들에게 서식공간을 만들어 주고 있다. 올겨울에도 어김없이 수천마리의 기러기들이 찾아와 지난 가을 태풍에 잠긴 벼를 먹으며 긴 겨울을 ... ...
기능성 쌀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는 쌀
과학동아
l
200312
안성의 고삼농협에 의뢰, 논 4만평에서 친환경 오리농법으로 재배한 거대배아미 80t을 첫
수확
해 올해 8월부터 시판하고 있다. (주)신지의 진중현 이사는 “쌀눈에는 단백질, 지질,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매우 풍부하다”며 “거대배아미를 백미에 놔먹으면 밥맛은 유지하면서 현미를 먹는 것과 비슷한 ...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충북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0312
기원일 것이다. 실제로 인도의 콜디와와 인도네시아의 셀레베스 등지에서 사람이
수확
한 것으로 보이는 탄화된 쌀이 발견됐고 6천년-8천5백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뒤 정밀한 연대측정을 통해 5천년 이상으로 보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이런 와중에 새로운 기원지로 중국 ... ...
하늘처녀 옆에 떨어진 밀짚모자
과학동아
l
200311
잦은 비 탓에 농민들을 시름에 잠기게 했던
수확
철이 지나갔다. 요즘에는
수확
철이면 어김없이 등장하던 허수아비를 보기 힘들어졌다. 벼이삭을 먹으러 오는 참새를 쫓기 위해 씌운 밀짚모자도 마찬가지다.이런 아쉬움을 달래주려는지 지난 10월 2일 미항공우주국(NASA)은 밀짚모자를 닮은 천체 ... ...
2 한국 2020년이면 비구름을 부린다
과학동아
l
200309
폭염과 가뭄이 휩쓸어 불가마를 연상케 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이번 가뭄으로 농작물
수확
이 80%나 감소할 것이라고 하고, 프랑스에서는 10만 마리의 가축이 집단 폐사했다. 또한 사망자가 수십명에 달하는 등 인명피해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21세기 교황청의 기우제이런 지경에 이르자 교황청이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09
의해 정하는 것으로서, 법정축적 상태가 아닌 현실림을 앞으로 법정축적 상태가 되도록
수확
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A 베게너가 지구상의 대륙생성에 관해 제안한 학설 즉, 대륙이 수평으로 이동했다는 생각을 구체적으로 논한 학설이다 이 설은 A 스나이더와 F B 테일러에 의해 처음으로 제기되었으나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