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d라이브러리
"
핵심
"(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LCD 분야에서도 우리나라가 세계 1위의 위치를 굳히고 있기 때문에 산학연 연계를 통한
핵심
기술을 키워나가면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우위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40인치급 이상의 HDTV용 LCD와 70인치급 HDTV용 PDP의 개발과 실용화를 성공리에 수행해낸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두번째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0.1% 정도다.또한 질병이나 수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과 함께 복제 과정에서도
핵심
적인 기능을 가진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복제 과정에서 핵이 제거된 난자에 포함된 미토콘드리아는 평소와는 다른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일반적인 수정 과정에서는 수정란의 분화에 필요한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트랜지스터를 들 수 있다. 단 한개의 전자로 연산작용을 할 수 있는 단전자 트랜지스터는
핵심
동작 부분이 수-수십nm 정도다. 현재 60개의 탄소로 이뤄진 축구공 모양의 풀러렌(탄소공)을 이용해 1nm급의 단전자 트랜지스터가 개발된 정도다. 물론 아직까지 단전자 트랜지스터는 극저온에서만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간접 발광하는 LCD에 비해 구조와 제조 공정이 간단해서 제조비가 저렴하다. 초박막을
핵심
재료로 이용하므로 매우 얇은 두께를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백열전구보다 2-3배 우수할 정도로 자체 발광 효율이 높고 선명하며, 화상을 볼 수 있는 각도가 크고 소비 전력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 ...
분뇨에서 노다지 캐는 환경공학자 박완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물론 박 박사는 연구 초기에 미생물 분야에 대해서 문외한이었다. 하지만 문제 해결의
핵심
에 미생물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는 두꺼운 영어책들을 쌓아놓고 무작정 독학을 시작했다. 확실한 감을 잡을 때까지 이론 공부에 매달리느라 밤을 지새우는 일이 많았다.7년 간 각고의 노력 끝에 찾은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연관된 네트워크의 원리를 파악해 질병 진단에 대한 아이디어와 미래의 신약 개발의
핵심
대상을 찾겠다는 전략이다.효모가 전해준 결정적 힌트단백질 사이의 네트워크는 어떻게 알아낼까. 이를 밝히기 위해서는 단백질 사이의 결합을 실험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이미 30여년 전부터 어떤 분자에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발전(자세한 내용은 76쪽 참고)이다. 생명공학의 많은 전문가가 프로테오믹스의
핵심
기술로 꼽는 것들이다.현재의 프로테오믹스는 크게 2분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단백질에 대한 총체적 연구를 집약하려는 노력이다. 단백질의 성숙과정이나 변형과정, 단백질 간의 상호관계, 세포에 따른 특정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태어난다.1996년 최초의 복제동물인 복제양 돌리가 태어난 후 체세포복제술은 생명공학의
핵심
분야가 됐다. 이 방법에 의해 1998년 일본에서 복제소, 미국에서 복제쥐가 태어났다. 1999년에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동시에 복제염소가 선보였고, 2000년에는 영국과 일본에서 거의 동시에 복제돼지가 ... ...
개미 눈물만한 액체까지 제어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연과를 발표했다.미세 유체역학은 LOC나 DNA칩 등 첨단 생명공학과 나노과학을 이끄는
핵심
기술이다. 외국의 경우 이에 대한 중요성을 일찍 파악해, 연구 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연구실은 늦은 출발이지만 그동안 쌓아온 반도체 부문에 대한 뛰어난 성과를 바탕으로 미세유체역학에서 다시 한번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로켓 KSR-Ⅲ는 성공적으로 비행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우주발사체의 독자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또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연구원들과 관련 산업체의 과학기술자들은 2005년 국산 우주발사체 개발에도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온국민에게 보여주었다.2005년에 발사될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