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d라이브러리
"
핵심
"(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slow cooling method)과 초급속동결법인 ‘유리화동결법’(vitrification)이 사용되고 있다.
핵심
은 일부 남은 물이 얼음결정을 이루지 않고 냉각되도록 온도를 아주 천천히 또는 급속하게 떨어뜨리는데 있다.완만동결법은 과거 수십년 전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오늘날에도 가장 많이 쓰이고 ... ...
4 태양 아래에서 자동 충전되는 입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NIT는 미래의 모든 IT 분야의 고기능 소자에 필수적인
핵심
과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조만간 수천억달러의 세계 IT 소자 기술 시장에서 일정 부분을 점유할 것으로 전망된다.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IT 강국은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세계 경쟁력을 계속 ... ...
진짜 살갗에 도전하는 인공피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최대한 분리해야인공피부의 표피를 표피줄기세포로부터 만드는 방법을 실용화하는
핵심
은 표피줄기세포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하는 문제다. 표피줄기세포는 20층 이상 계층화된 표피의 하단부 기저막에 단단히 붙어있어 추출할 때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연구용으로 줄기세포를 ... ...
소리 전달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연구진이 초파리 유전자 실험을 통해 소리를 신경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하는데
핵심
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와 단백질을 발견하고 그 작용과정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대덕연구단지 내 한화석유화학 중앙연구소의 김창수 박사팀은 초파리에서 소리를 청각세포신호로 변환시키는 유전자를 발견,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융합 목적을 분명하게 짚었다. 그것은 ‘인간의 수행능력 향상’이었다. 바로 이것이 3대
핵심
첨단기술에 인지과학이 포함되는 까닭이다. 물론 인지과학도 마이크론(10-6m) 단위의 신경세포에서 나노 수준의 구체적인 생체전달분자로 내려와 있기도 하다.인지과학과 첨단과학기술의 만남이 보여주는 ... ...
머리카락 한올로 범인 나이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소행이라 볼 수 있다.“접촉한 물체는 흔적 주고받는다”두번째 의문은 밀실트릭의
핵심
으로서 범행이 내부자의 소행인지, 아니면 외부자의 침입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일이다. 예를 들어 미술품이나 장신구처럼 부피가 많이 나가는 물건을 도난당한 경우에는 그것을 들고 나간 통로에서 ... ...
2 언제 어디서나 건강검진하는 바이오센서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중요성과 잠재력을 그대로 반영해주는 셈이다.우리나라는 1997년 이후 IT가 경제 성장의
핵심
적인 동력 역할을 해왔다. 그 결과 세계 최고수준의 IT 기반을 갖고 있다. 우리는 이 점을 충분히 활용해 BT와 IT의 융합을 위한 새로운 시스템을 확립해야 한다. 특히 향후 수년이 BT와 IT 산업의 경쟁력을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1980년대부터 쿄토대 마쓰모토 히로시 교수를 중심으로 우주태양광발전 기술의
핵심
이 되는 마이크로파 무선송전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뤄졌다. 1983년 우주과학연구소의 로켓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50km 고도 이상의 전리층 내에서 1차 로켓에서 2차 로켓으로 마이크로파를 무선 송전하는 실험을 ... ...
2 힘세고 오래가는 에너지 활용비법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있다. 이 때문에 미활용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열의 회수·변환·저장·수송기술이
핵심
이 다. 저온의 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는 나노기술을 이용한 초고효율 열교환기 개발을 추진중이다.이미 북유럽과 일본에서는 열공급부문에서 에너지이용효율을 높이기 ... ...
1 인간은 머리기른 침팬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부분을 택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굿맨 박사팀의 ‘99.4%’는 유전자의
핵심
부위, 즉 특정 단백질을 지정하는 염기서열만 비교했을 때 나온 결과라는 말이다. 굿맨 박사는 “이번 연구는 유전자만을 대상으로 했지만, 유전자 이외의 부분, 즉 특정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지 않는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