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레이저로 ‘우주 등대’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프록시마 센타우리’에서 탐지 가능한 신호를, 구경 45m 망원경과 1MW급 레이저로는 지구로부터 38.8광년 떨어진 ‘TRAPPIST-1’ 항성계에서 감지 가능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TRAPPIST-1에는 7개의 외계행성이 있고, 그 중 3개는 외계생명체가 서식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연구팀은 이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는 외계행성을 탐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테스는 올해 8월 처음으로 관측 이미지를 지구로 전송했고, 9월에는 외계행성 2개를 발견했다. 이외에도 NASA는 2021년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을 발사하고, 2020년대 중반에는 ‘광각 적외선 우주망원경(WFIRST)’ 등을 발사해 외계행성 탐색을 지속할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기술이다. 어쩌면 이에 대한 해답은 송골매로부터 얻을 수 있을지 모른다. 송골매는 지구상 가장 빠른 동물 중 하나다. 무려 시속 320여km로 비행할 수 있다. 또한 송골매는 먹이를 포착하면 빠르게 하강해 먹이를 다시 낚아채곤 곧바로 다시 솟구쳐 오른다. 어떻게 이런 비행이 가능할까. 과학자들은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습니다. 특히 PFOS처럼 환경 중 잔류성이 큰 물질들은 대기와 바다의 순환을 따라 전 지구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물질의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합니다. 환경 중 잔류성이 크고 생체 내에 축적되면서 독성이 강한 물질들은 ‘스톡홀름 협약’이라는 국제협약에서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화석연료 사용량 감축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제도를 마련할 수 있다. 전 지구적 차원의 문제의 경우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만큼 국제 환경 협약을 체결해 국제적 차원의 연대를 시행해야 하며, 에너지 빈곤 지역의 에너지 인프라 구축을 지원해 에너지 소비 격차를 ...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기존의 오로라보다 10~20° 더 낮은 위도에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때 입자들은 지구 자기장 때문에 동쪽에서 서쪽으로 빠르게 이동해요. 그 결과, 6000℃의 뜨거운 열을 발생시키며 기존의 오로라와는 다른 보랏빛을 내는 거예요. 연구팀은 이 현상에 ‘속도 증가에 따른 강한 열방출(STEVE ...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도움 줄 예정입니다. 두개골의 생성두개골이 형성되는 과정을 알고 계시나요? 마치 지구를 덮고 있는 지각판이 서로 붙어 있는 것처럼 네 개의 뼈가 따로 자라 붙습니다. 이때 뼈가 붙은 곳을 확대해 보면 직선 모양이 아니고 지그재그 모양으로 튜링 패턴이 나타납니다. 그 비밀은 2009년 타카시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도대체 왜 하느냐는 사람들에게 성 수석연구위원의 이런 조언을 전하고 싶다. 심폐지구력과 기초대사량을 늘려주고 우울증까지 날려 보내는 달리기. 언제 어디서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말 ‘신이 내린 운동’이 아닐까. 독자 여러분도 도전해보길 적극 추천한다. ● 그 男자의 마라톤 - 역시 ...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역사를 가진 오래된 암층으로 구성됐다. 한반도 형성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동아시아의 지구조 역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퍼즐인 이유다. 김 연구원은 “약 5000년 전 제주도와 울릉도, 백두산에 화산 폭발이 일어났던 기록이 있지만 그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며 “가넷과 페리도트 같은 지시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014년 12월 발사된 일본의 소형 탐사선 ‘하야부사2’가 32억km를 여행한 끝에 지난 6월 소행성 ‘류구’ 상공에 도착했다. 류구는 지구에서 약 3억km 떨어져 있다. 하야 ... 하야부사2는 적어도 1g의 류구 샘플을 가지고 2019년 11월 12일 류구를 떠난 뒤 2020년 말 지구로 귀환하게 될 것입니다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