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추의 매운맛은 자손 퍼뜨리는 수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되고, 이로써 신경의 전기적 충격이 촉발돼 뇌는 이를 고통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연구자
들은 애리조나 남부의 칠레고추밭을 비디오테이프로 녹화한 결과, 개똥지빠귀와 같은 새들만 칠레고추를 먹고 선인장 쥐나 다른 종류의 쥐들은 주변에 있는 맵지 않은 빨간색 열매만 먹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 ...
27억년 전에 원시세포 존재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통해 초기 지구의 바다에서 살았던 원시 세포생명체의 잔해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자
들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와이트눔 근처 6천8백m 깊이의 퇴적암에서 유기물을 발견했다. 이 유기물은 생물체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핵막이 있는 진핵생물이 존재했다는 강력한 증거였다. 진핵생물은 복잡한 ... ...
제주도에 자연과학박물관 짓는 금속공예가 이종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이뤄져야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설립자와 경영자의 마인드, 그리고
연구자
의 실력이 삼위일체를 이뤄야 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사실을 이종옥씨는 은암자연박물관을 운영한 덕택에 경험으로 터득했다.아들과 딸이 조개와 새학창시절에 기계체조로 단련된 몸이라 비교적 건강하지만 ... ...
스트레스 받으면 기억력 저하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기억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워싱턴대 약학대학의
연구자
들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인 ‘코티졸’이 기억력을 저하시킨다는 것이다. 코티졸은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의 일종으로 농도가 높을 경우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1. 포스트 유전자 시대 스타 이건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중에는 걸려 오는 전화도 받지않고 주로 논문이나 책을 읽으며 연구설계를 한다. 현재
연구자
로서의 의무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교육도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강의 준비를 철저히 하는것도 그의 몫이다. 또 실험을 위해서 생쥐와 부대끼는 시간도 적지않다.실패는 싫어시종일관 웃음을 잃지 ... ...
이산화탄소 증가로 위협받는 산호초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탄산칼슘과 반응하면서 그 포화 수준이 감소한다. 즉 산호초의 생존이 위협받는 것이다.
연구자
들은 앞으로의 상황을 예측하기 위해 해양데이터와 실험실에서의 실험을 기반으로 컴퓨터 모델링을 했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2065년에 산업혁명 이전 농도의 두배가 될 것이라는 시나리오를 사용한 ... ...
플레밍 신화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위해 관련된 논문을 뒤지다가 플레밍의 1929년 논문을 발견했다. 마침 같은 학교의 다른
연구자
가 플레밍에게 얻은 푸른곰팡이를 원치 않은 세균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고 있어 쉽게 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다.여러해 동안 각고의 노력 끝에 페니실린의 분석과 정제에 성공한 그들은 1940년 봄 감염된 ... ...
사람 코 흉내내는 '인공 코'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않는다.그러나 이러한 신기술도 생물체의 진짜 코에 비하면 아직 만족스럽지 않다. 한
연구자
는 “세상의 어떤 컴퓨터도 가장 간단한 생물체가 하는 것을 하지 못한다”며 한계를 지적했다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꼽는다면 아이오와 웨슬리언대학의 토머스 폴터 교수다. 대학 1학년 때 그는 나를 공동
연구자
로 내세울 만큼 아꼈다. 당시 50m 높이의 관측소를 설치해 대기 성층권의 유성우와 자기장을 연구했는데, 그때의 연구가 오늘날의 나를 있게 한 계기다. 대학 1학년생이 연구를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 ...
Ⅳ. 미래의 문을 여는 바이오 칩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단백질이나 지방산)에 의해 물질과 이온이 수송되고, 신호가 전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자
들이 세포막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가진 센서를 만들기 위한 첫 작업은 기능성 생체분자들을 2차원적으로 배열하는 것이다.이와 같이 기능성 생체분자를 인공적으로 배열시킨 것을 ‘인공 생체분자막’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