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선생님을 위한 똑똑한 수학 교구 선택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수학 활동보다는 교구 자체에 관심을 더 많이 갖는 모습을 보였다. 수학 활동 대신 교구의 본래 용도에 따라 블록 쌓기나 장난감 놀이 등을 하기 시작하는 것이었다. 특히 이미 교구의 원래 용도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 더 빨리 관심이 옮겨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구의 원래 용도를 파악하기 ... ...
- 익스트림 서프라이즈 평화를 사랑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처벌하기 위해 감시하고 있었고, 마침 그가 필즈상 수상자로 선정되자 그를 처벌하는 대신 필즈상의 영광을 빼앗는 걸 선택한 것이다.러시아 수학자 중에는 정치적인 이유로 필즈상 시상식에 참석하지 못한 비운의 주인공이 또 있다. 1978년 필즈상 수상자인 그리고리 마르굴리스다. 당시 ... ...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어떻게 기하학 문제를 대수학★으로 증명한 걸까?대수학★ 수학의 한 분야로, 수 대신 문자를 사용해 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에서 시작됐다.수학에서 ‘델로스의 문제’와 같이 풀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게다가 델로스의 문제는 고대 기하학 문제로, 그림을 ... ...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급격히 증가시킬 만한 촉진제가 없고 마그마 방을 데우는 열원이 점차 사라지면, 폭발 대신 마그마가 광물로 변하는 결정화 과정이 일어난다. 결정 비율이 전체 마그마 방의 50% 이상이 되면 화산폭발의 가능성은 사라지고 마그마 방은 지하에서 굳어 거대한 심성암체를 만든다. 미국 대통령의 흉상을 ... ...
- 산호 위에 사람이 산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능가하는 산호들이 자태를 뽐낸다. 나뭇가지처럼 뻗어있는 산호 사이로 벌과 나비 대신 물고기가 돌아다닌다. 수천 종의 생물이 산호와 함께 살아가고 있으며, 지금도 새로운 종이 계속 보고되고 있다. 그 위에는 인간이 삶의 터전을 꾸리고 있다. 산호가 없다면 남태평양이 존재할 수 있을까 ... ...
- 정크 DNA, 혹시 정말 쓰레기?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식물인 포도나 토마토가 약 5억~8억 개의 DNA 염기쌍을 지닌 것에 비해 10분의 1에 불과하다.대신 유전자 수는 많았다. 모두 2만 8500개의 유전자를 지녀서, 2만 1000개 정도인 사람보다 다양했다. 전체 DNA 중 유전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97%로, 사람(30억 개의 DNA 염기쌍 중 2만 1000개의 유전자를 지님)의 2%보다 .. ...
- 류현진의 느린 체인지업에 왜 타자는 헛스윙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류현진은 팔꿈치에 무리가 갈 수 있는 슬라이더와 커브를 적극적으로 익히지 않았다. 대신 국내에서는 팔꿈치에 부담이 덜한 체인지업을 집중적으로 던졌던 것이다. 류현진은 메이저리그에 진출하며 부상의 위험을 무릅쓰고 변화를 선택했다.변화구의 다양화 이외에도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공을 ... ...
- INTERVIEW 노벨상 수상자 하랄트 추어 하우젠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심도 있게 배울 수 있도록 체계화돼 있었지만 불행히도 내겐 기회가 오지 않았다”며 “대신 라틴어와 고대 그리스어를 배우기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만 했다”고 회고했다.2008년 마침내 노벨상을 수상할 때 기분이 어떠했냐는 질문에 추어 하우젠 박사는 “기뻤고, 매우 아름다운 시상식이었다 ...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똑같아 거부반응도 없다. 그러나 모든 세포로 분화하지 못한다는 게 단점이다. 그 대신 난자를 쓰지않기 때문에 윤리적인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 우리나라는 황우석 박사 사건 이후 성체줄기세포 연구에 더 집중했다.지난해 노벨생리의학상의 주인공인 IPSc는 성체줄기세포와 달리 모든 세포로 ...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수 없습니다. 글자가 발명되고 컴퓨터가 발달하면서 두뇌가 하는 일 중 상당한 부분을 대신하게 됐기 때문일까요.어쩌면 현생인류는, 수백만 년의 긴 진화 역사를 거스르는 놀라운 변화를 지금 경험하는 중인지도 모르겠습니다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