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불꽃방전을 일으켜 공구나 그 밖의 내마모성을 요하는 기계부품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것
관측
상 방추상으로 보이는 은하계 성운의 하나 나사선성운〔渦狀星雲〕은 전체적으로 원반형이므로 이것을 옆에서 보면 방추상으로 보인다이런 위치에 있는 은하계성운은 머리털자리의 NGC 4565 등이 대표적인 ... ...
'딥 임팩트' 우주선 혜성 향해 발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1억2천8백만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지만 지구의 특정 위치에서는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
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앞서 올해 1월 NASA의 혜성 탐사선 ‘스타더스트’ 는 ‘빌트2’ 혜성에 접근해 혜성의 핵을 촬영했지만 직접 혜성에 충돌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들렸다고 한다.사진부문 2등 흑해 황철광디 브레거, 컬럼비아대 라몬트-도허티 지구
관측
소 사진부문 1등을 한 디 브레거의 또 다른 수상작. 이 사진은 흑해의 퇴적층에서 얻은 코콜리소포리드(coccolithophorid)라는 미세 플랑크톤 안에 형성된 황철광 결정 덩어리를 보여주고 있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걸쳐 이 별을 관찰한 결과를 기록했다. 당시에는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이라 맨눈으로
관측
했다. 이 별은 그해 11월에는 태양 뒤로 사라졌다가 이듬해인 1605년 5월 1일에는 새벽 동쪽 하늘에 다시 나타났다. 이때는 조금 어두워져 있었고 다시 1년쯤 뒤에는 맨눈으로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빛을 잃어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다.뭐니뭐니 해도 금성과 목성의 근접 현상은 천체망원경으로 봐야 가장 좋다. 망원경
관측
시 두 행성을 함께 보려면 저배율로 한다. 망원경에서 두 행성이 함께 보이는 모습은 색다른 맛을 풍긴다. 더구나 망원경의 집광력 때문에 금성과 목성의 빛은 눈을 찌를 듯 강렬하다. 배율을 높이면 ... ...
최초의 외계 행성 이미지 포착?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 천체가 행성이 아니라 희미한 갈색 왜성일 확률은 1천만분의 1 정도라면서 추가적인
관측
을 통해 행성으로 확증된다면 이 이미지가 천문학 교과서를 장식할 것으로 예상했다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목성의 경우 남극과 북극에서 X선이 강하게 방출됨을 볼 수 있다. 10시간 동안의
관측
결과 북극의 X선은 45분 주기로 맥동하는 하나의 ‘열점’(hot spot)에서 나오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고에너지의 산소와 황 이온이 목성의 자기장에 포획돼 양극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대기와 충돌할 때 X선이 ... ...
에어버스와 보잉의 에어쇼 수주전쟁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를 109개 모아 84년에 출판했다이 목록에 수집된 성운 · 성단은 지름 5cm의 망원경으로
관측
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거의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그러므로 성운 · 성단을 표시할 때는 메시에의 이름에서 M과 그 목록의 번호를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리보핵산(RNA)의 일종으로서 유전자DNA 사슬 중 한쪽 ... ...
우주에 있는 거대한 '고양이 눈'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성운’이라 불린다.그렇다면 어떻게 고양이 눈 같은 모양이 생겨난 것일까. 이번
관측
으로 드러난 11개 이상의 동심원 고리는 사실 양파껍질 같은 구형 껍질들의 가장자리가 2차원으로 투영된 모습이다. 천문학자들은 별에서 1천5백년마다 한번씩 가스 방출이 있었고, 이런 격동으로 주변 먼지를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수치모형이 실제 대기의 움직임을 완벽하게 표현하기에 한계가 있는데다 다양한 기상
관측
자료로부터 최적의 기상변수를 얻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 같은 기술 개발에 집중투자하면 앞으로는 면 단위의 정확한 예보까지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제트류중위도 편서풍대에서 나타나는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