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소"(으)로 총 2,6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물 - 나비의 탈바꿈도 호르몬 덕분과학동아 l1994년 11호
- ① 똥으로 더러워진 거름종이 쪽으로 모여든다② 새 거름종이 쪽으로 모여든다.③ 다른 장소를 찾아간다. ①바퀴는 야행성으로 낮에는 찬장 뒤 같은 곳에서 쉬고 있다가 어두워진 뒤에 활동하는데, 그 곳은 언제나 바퀴의 똥으로 더럽혀져 있다. 그 곳에서 여러가지 실험을 한 결과, ... ...
- 쥐라기 익룡, 박쥐와 조류 어느쪽에 가까운가과학동아 l1994년 11호
- 역할을 했다.이 동물은 아마도 생선을 주식으로 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이 사냥 장소인 호수의 표면 아래로 잠수할 수 있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익룡의 날개에 대한 최근의 논쟁은 영국의 학술잡지인 '네이처' 최근호에 실린 한 보고서로 시작됐다. 공룡과 동시대에 존재했고 친척이기도 한 ... ...
- 보통카메라로 천체 사진 찍는다과학동아 l1994년 11호
- 합니다.□ 대상:초중고 대학생 및 일반인 누구나□ 일시:1994년 11월 18일(18시-21시)□ 장소서울: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충청지부:대전역대구, 경북지부:대구역부산, 경남지부:부산역강원지부:춘천시 공지천□ 행사내용1. 성운, 성단 슬라이드 상영2. 망원경 전시 및 설명3. 대학생들이 직접 촬영한 천체 ... ...
- PART 1 무중력 공간이용 순도 100% 신물질 제조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소자 생산이나 고순도의 의약품같은 신물질을 제조할 수 있는 장소로 적합하다. 이러한 신물질의 제조공장의 좋은 조건이 되고 있다. '메이드 인 스페이스' 제품은 2000년대 쯤에는 연 60억달러의 시장규모가 예상된다. 신물질 제조공장으로서 우주정거장 이용은 그 상업성에 ... ...
- PART 2 살류트-프리덤 이어 상업용 우주호텔 등장과학동아 l1994년 10호
- 건설한다는 것이 미국의 우주 계획이다. 프리덤이 완성된다면 30년간의 우주활동 장소가 제공되어 본격적인 우주개발의 시발점이 될 것이다. 우주개발이 더욱 본격화돼 우주기술과 경험이 축적된다면 향후의 우주정거장은 더욱 크고 복잡한 형태로 발전돼, 궁극적으로 우주기지(사진5) 내지는 ... ...
- 바다 속에서 솟아오른 화산섬 하와이과학동아 l1994년 10호
- 폴리네시안 양식의 가옥이 여러 채 있고 아늑한 호수도 있어 휴양하기 에는 아주 좋은 장소다.세계에서 가장 화산활동이 활발한 이 화산은 격렬한 활화산이다. 1959년 폭발 당시 용암이 무려 5백 80m나 치솟았다는 기록이 있다. 킬라우에아 화산이 분출할 때의 모습은 매우 장관이어서 수많은 ... ...
- 대구·대전, 서울보다 광공해 심하다과학동아 l1994년 10호
- 비교적 충실히 기록한 전북 고창의 진성호씨와 삼각형 안에서 9개의 별까지 관측한(관측장소 청원군 가덕면 상아리) 충북과학고등학교 정희수씨를 우수작으로 선정했다. 두사람에게는 상품으로 '우리별자리'(이태형 저)를 우송했다 ... ...
- 초보자 공개 관측회-망원경 설명회, 목성스케치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서강대학교 천문동아리 '별'에서는 올해도 일반인과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개관측회를 개최한다. 평소에 별(천문)에 관심이 있으면서도 실제로 그 기회를 ... 달·토성·성운·성단의 관측 등이 포함된다.■날짜 : 10월 12-13일■시간 : 18:00-21:00■장소 : 서강대학교 대운동장, ... ...
- 생물- 수질오염원인 과학적 탐구요령과학동아 l1994년 10호
-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자료의 해석 및 결과의 분석 2북한강의 강물을 채취한 장소 모두가 물고기가 생존 가능한 pH 범위에 있으므로 이 가설은 타당하지 않다.가설의 설정 3가설 3. 물의 온도 변화 때문에 물고기가 죽었을 것이다.탐구의 설계 및 수행 3 (표3)은 지난해 북한강의 월별 수온 ... ...
- NASA의 거미로봇 '단테Ⅱ' 화산 촬영과학동아 l1994년 10호
- 거미 모양을 한 발 8개 달린 '단테Ⅱ'로봇이 공군의 헬리콥터에 실려 미국 알래스카주 스페일 화산에 운반됐다. 이 로봇은 수증기를 분출하는 화구 근처 경사면에 내려졌다. ... 92년부터 3회에 걸쳐서 폭발한 화산. 당분간 다시 폭발할 가능성은 없으므로 로봇의 실험장소로 채택됐다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