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2,62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02
것입니다. 당시에는 아주 용감한 주장이라고 할 수 있지요. 이 수치는 현재 우리가
관측
할 수 있는 우주 공간 내의 광자(감마선)와 중입자수(바리온수)의 비(${10}^{-8}$)와 일치합니다. 완벽한 대칭을 위해 제안된 반물질이 결과적으로는 스스로 대칭성을 파괴하는 결과를 가져온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02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또한 북반구의 해양에서 이제까지
관측
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 분압 자료에 근거해서 볼 때 북반구의 바다가 이렇게 많은 이산화탄소를 소화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즉 북반구의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더 많이 흡수할 수 없다면 북반구의 육상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02
생각된다. 달의 운석 충돌 순간 또는 화산 활동을
관측
하리라는 열정을 가지고 밤하늘을
관측
하는 아마추어 천문가의 수가 많아질수록 우리나라 과학기술 수준은 높아지고 밝은 미래가 약속될 것이다 ... ...
빛의 밀도비 f수에 따른 망원경 선택
과학동아
l
199402
4인치 f수 5인 망원경과 6인치 f수 8인 망원경으로
관측
할 때 어느 망원경에서 밝은 상태의 천체를 볼 수 있을까? 아무래도 6인치가 빛을 많이 모을 수 있으 ... 선택에 있어서 렌즈나 주경은 크기가 큰 것일수록 좋지만 그 망원경의 f수는 자기의
관측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
과학동아
l
199402
위성들을 보면 태양계를 축소해 놓은 느낌도 든다.갈릴레이는 이 목성들의 위성을
관측
하며 천동설로는 이 현상을 도저히 설명할 수 없음을 알아냈다. 2월 북쪽 밤하늘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별자리인 큰곰자리의 북두칠성이 동쪽에서 국자의 바가지를 하늘로 향하여 서있고, 서쪽에는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01
접근이 용이한 대신 이 고도에서는 하늘의 반을 지구가 덮게 되어 천체의 절반 이하만을
관측
할 수 있다.우주인에 의해 고장 수리를 하는 데에도 많은 돈이 들어갔는데, 한 천문학자의 표현을 빌면 그것은 마치 텔레비전을 권투 장갑을 낀 사람이 고칠 수 있도록 만드는 것과 같은 작업이었다.1990년 ... ...
별 진화론 대폭 수정 돼야 한다
과학동아
l
199401
것이다.우리은하에서만 1백50여곳의 여진(초신성 폭발 흔적)이 발견되는데 천문학자들이
관측
한 중성자별은 불과 20여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중성자별은 어디로 사라졌는가. 뉴욕대학의 제럴드 브라운과 코넬 대학의 한스 베세는 "중성자별 대신에 블랙홀이 되었다"고 설명한다. 이들이 옳다면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01
지평선 근처에서 점점 서쪽으로 움직여가는 토성을 5일 정도의 간격을 두고
관측
하다 보면 다른 때보다 무척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것 같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단지 정지된 지상의 물체 사이를 움직이기 때문에 느낌이 그럴 뿐이지 중천에서 움직일 때와 마찬가지 속도다.토성이 지는 시각은 ... ...
천체
관측
의 만능자, 항성시를 알자
과학동아
l
199401
또한 행성
관측
요령도 별자리그림과 함께 실려 있어 초보자들도 손쉽게 별과 행성을
관측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외에도 일월식 유성우 혜성 등 주목받는 천체현상들의 해당 날짜가 표시돼 있다. 1994년 천문달력의 발간대행사는 선두과학사이며 값은 7천원 ... ...
지구과학 - 기압ㆍ온도조건 따라 다양한 모양
과학동아
l
199401
감탄, 그때부터 일생을 눈의 결정의 조사에 바쳤다. 그는 농사짓는 틈을 타서 눈의 결정
관측
에 열중해 1907년 1천3백 종의 눈의 결정을 촬영했고 1931년에는 6천5백여 종의 눈의 결정 사진을 모아 '눈의 결정(Snow crystals)'이라는 책을 발간하기도 했다(그림1).눈의 결정은 이처럼 다양한 모양을 하고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