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뼛속까지 새겨지는 수학공부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됩니다. 멀리 봤을 때 이런 생각은 도움이 안 될 뿐더러, 학생들이 수학을 기피하게 되는 큰 이유이니까요. 갈수록 사회는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복잡한 사회를 유지시키는 건 다름아닌 수학이죠. 예를 들어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화폐를 생각해보세요. 화폐를 사용하는 것 자체가 엄청난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격자 세상’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됐나요?폴리매스 프로젝트에서 증명을 서술하는 훈련을 했던 게 영재학교에 입학하는 데 큰 도움이 됐어요. 어떤 문제를 그냥 증명하기 시작하는 것과 개요를 잡아서 하는 것은 많이 다르거든요. 또 문제의 해법을 고민할 때 가설을 세워보고, 반례를 찾아보는 훈련을 많이 할 수 있었어요. -> ... ...
- [과학뉴스] 태양 표면, 초근접샷 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망원경으로 촬영한 거예요. 이 망원경은 반사경의 지름이 약 4m 정도인, 지상에서 가장 큰 태양 망원경이지요. 태양 표면을 30km 너비로 나누어 관측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태양 망원경보다 해상도가 5배 정도 높아진 셈이랍니다. 이렇게 태양 표면을 자세히 관측하면 태양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 ... ...
- 호주 산불로 파괴된 숲, 돌아올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막는 것’이랍니다. 기후변화의 가속을 막아야 한다는 말이에요. 큰 산불로 인해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지금이 기회라고 생각해요. 목소리를 모아서 정부에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라고 요구해야 합니다! 용어정리* 난연제 : 불이 잘 붙지 않는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있을 정도니까요. 이 영상에서 소개되는 로봇은 기네스에 기록된 ‘세계에서 가장 큰 네 발 달린 외골격 로봇’이에요.(정말 이상한 분야의 1등이죠?) 키 3.96m에 폭이 5m가 넘는 정말 거대한 로봇이죠. 제작 기간만 10년이 걸렸다고 해요. 별로 쓸모는 없어 보이지만, 멋있으면 장땡이죠 ... ...
- [통합과학 교과서]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거유우?”개코 조수가 심각한 표정으로 대답했어요.“우리 마을에도 이것이 발견된 것은 큰 뉴스요, 뉴스!”“이것이 뭔데유우?””아직 섣불리 말할 수는 없소. 확실해지면 말씀드리겠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지층에 만들어진 역사책, ...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단순한 시간의 문제가 아니라 그동안 공부하던 것들을 멈춰야 한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현재 국방부는 2022년부터 전문연구요원을 단계적으로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과학계의 거센 반발로 보류상태다 ... ...
- 미사일·어뢰·드론 3대 위협 청해부대 호르무즈해협 파병 안전진단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수심이 낮고 바다 폭이 좁은 것이 특징이다. 즉 가까운 내륙에서 날아오는 미사일 등이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이란은 사정거리 200km의 중거리 대함 순항미사일을 가지고 있다. 대공방어에 가장 중요한 것은 탐지능력이다. 미사일을 비롯한 비행체의 속도가 빠른 만큼 신속히 탐지할 수록 방어할 수 ... ...
- 전기자동차 배터리 엔지니어 “싫은 일부터 하나씩 지워보세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어떤 방식으로 접근했는지 들어 본다고 생각하고 책을 읽었다면 아마 지금 저에게도 큰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요(웃음). Q3 학업을 위해 이건 꼭 고치고 싶다? 새로운 선택을 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지면 좋겠어요. 유학 시절에 만난 미국 친구들은 선택에 주저함이 없더라고요. 보통 한국 학생들은 하던 ... ...
- [DGIST] 더 빨리, 더 정확히, 더 많이 만능 AI 프로세서 개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즉 에너지 효율이 높은 시스템반도체를 설계하는 게 목표입니다.”서버를 가리키며 큰 목소리로 설명하던 궁재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는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프로세서의 연산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한다”고 말했다. 고성능 AI 시스템반도체 설계최신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