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d라이브러리
"
연결
"(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목성 위성 유로파도 ‘판구조론’ 따른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1995년부터 2003년까지 활동한 NASA의 목성탐사선 갈릴레오의 영상을 모자이크처럼
연결
해 남한 면적의 약 1.4배에 해당하는 13만4000km2의 지각을 재구성했다. 그리고 지표의 지질학적 특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유로파의 지표에는 양쪽으로 당긴 듯 갈라진 틈이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뇌나 비슷하다. 인간의 뇌는 약 1000억 개의 뉴런이 복잡한 네트워크를 이루며 서로
연결
돼 있는 거대한 신경 회로망이다. 수많은 뉴런이 신호 자극을 주고받으며 서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게 뇌다. 따라서 전기공학적으로 반도체 회로를 디자인하는 것이나 뇌 속의 복잡한 신경회로망을 연구하는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
망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갖고 있는 분야임에 틀림없다. 복잡계
연결
망 연구가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수많은 복잡한 문제들의 실타래를 풀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턱이 씹는 역할 을 하게 하는 근육)이 있었다는 뜻이다. 저작근육은 얼 굴 옆을 지나 턱에
연결
되므로,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 스는 큰 저작근육을 지탱하기 위한 큰 옆 얼굴과 깊은 턱 을 지녔다고 추측할 수 있다. 저작근육을 지탱하기 위해 반대 근육인 목근육 역시 컸을 것이다. 실제로 뒷머리뼈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재배한 벼라는 것을 확인했을까. 야생 벼는 알곡이 다 익으면 벼의 줄기 부분과 낱알을
연결
하는 소지경이 자연스레 떨어진다. 이것을 자연탈립 현상이라 부른다. 반면 재배 벼는 익더라도 바닥에 잘 떨어지지 않는다.그래서 사람이 직접 손이나 도구를 이용해 수확해야 한다. 가와지 볍씨의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말한다. 지금까지는 사람의 의지대로 조작해 인터넷이
연결
된 기계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았지만,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기계끼리 자동으로 정보를 주고받는다.예를 들어 국내 한 통신사가 개발한 ‘지브로(ZiBro)’는 무선주파수 인식시스템과 블루투스로 작동해 ... ...
[체험] 잘록한 허리를 가진 일엽쌍곡면 만들기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부른다. 여기서 더 돌리면 원뿔 2개 사이가 벌어지면서 중간 부분이 꼬인 실로
연결
되는데, 이 실만 없다면 ‘이엽쌍곡면’이 된다. 이때 이차식은 x²/a²+y²/b²-z²/c²=-1이다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확실했다. 전율이 일었다. 가져온 송곳으로 조심스럽게 주변을 파기 시작했다. 주운 것과
연결
되는 다른 뼛조각이 나왔다. 이어 손톱만한 다른 조각. 그렇게 모두 네 조각의 뼛조각을 파냈다. 지난 8월 13일, 몽골 고비사막에서 기자가 생전 처음으로 공룡의 화석을 발굴한 순간이었다.마침 옆을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염색체이고, 위 반원은 해당 동물의 전체 유전체(게놈)다. 선은 비슷한 유전자끼리의
연결
선이다. 진화적으로 가까운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생물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나무. 다윈의 영향을 받았다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순식간에 퍼져나갔다. 인근 제2롯데월드 공사장에서 자잘한 사고가 자주 발생했던 것과
연결
해 123층이나 되는 건물이 싱크홀에 빠져 무너질 것이라는 괴담마저 흘러나왔다. 처음에는 흙을 부어 구멍을 메웠던 서울시도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곧장 조사에 착수했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도로가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