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d라이브러리
"
연결
"(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쌓아올렸다. 유클리드 기하학의 유명한 공리는 다음과 같다.❶ 임의의 점과 다른 한 점을
연결
하는 직선은 단 하나뿐이다.❷ 임의의 선분은 양끝으로 얼마든지 연장할 수 있다.❸ 임의의 점을 중심으로 하고 임의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릴 수 있다.❹ 직각은 모두 서로 같다.❺ 평행선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소프트웨어 발전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임베디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인터넷에
연결
된 모든 사물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사물인터넷’ 시대를 대비하겠다는 것이다.임베디드 시스템은 일반 PC와 하나부터 열까지 다르다. PC는 하드웨어가 통일돼 있지만, 임베디드 시스템은 하드웨어마다 매번 ...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감탄사를 알고리듬으로 분석해 고객 정서에 가장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상담원에게
연결
해준다. 고객과 상담원을 성격 유형으로 분류해, 전화 업무를 더 빠르고 만족스럽게 처리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생활 속에서 알고리듬이 활약하는 예는 이뿐이 아니다. SNS의 개인 정보나 인터넷 검색 기록을 ... ...
얼굴 대면 문이 딸깍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잘 찾아 보면 도움의 손길을 받을 수 있어요. 창조경제타운이 SK텔레콤과 파이브지티를
연결
해준 것처럼요. 창업 아이템을 잘 잡고 초반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나면, 자유롭게 정년 걱정 없이 일할 수 있습니다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개의 나누는 수와 나머지 값을 알면 암호가 풀린다.➋ 땋임 암호머리카락과 같이 양쪽이
연결
되지 않은 실 여러 가닥이 얽혀 있는 모양을 ‘땋임’이라고 하는데, 그 모양은 매우 다양하다. 이를 이용한 암호가 땋임 암호다. 우선 실을 꼬고 각각의 마디를 서로 다른 기호로 대응시킨다. 그리고 이 ... ...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분석해 각 개인의 역량을 계산했다. 즉 슛으로
연결
된 패스 중에서 어떤 게 가장 많이
연결
에 가담했는지를 판단한 것이다.네트워크 분석★ 그래프 이론을 이용해 수많은 구성 요소로 이뤄진 시스템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아내는 방법이다 ...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연방수사국(FBI)은 테러리스트의
연결
관계를 계속 관찰하고 있다. 서로 연락이 많아지거나 수상한 낌새가 있으면 바로 대응하기 위해서다.실제로 사회네트워크 분석으로 테러리스트를 잡은 사례가 있다. 사담 후세인과 빈 라덴이 대표적이다.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연결
해 주는 짧은 가닥을 만들어 넣었다. 짧은 가닥은 따로 떨어져 있는 종이를
연결
해 주는 역할을 한다는 뜻으로 ‘스테이플★ 가닥’이라고 불렀다. 1차원의 가닥을 2차원으로 만들어 주는 면에서 오리가미와 성질이 비슷하다.이후 DNA 오리가미 기술은 발전을 거듭해 2차원 구조물은 물론 3차원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기초 단계에 해당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를 이용하면 자신의 상상을 코딩으로
연결
시키고 이를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다. 게임이나 말하는 동화책 등을 스스로 기획하는 과정에서 창의력을 기를 수 있다.두 번째와 세 번째는 문제해결력과 논리력이다. 스크래치를 익히고 난 다음,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재배한 벼라는 것을 확인했을까. 야생 벼는 알곡이 다 익으면 벼의 줄기 부분과 낱알을
연결
하는 소지경이 자연스레 떨어진다. 이것을 자연탈립 현상이라 부른다. 반면 재배 벼는 익더라도 바닥에 잘 떨어지지 않는다.그래서 사람이 직접 손이나 도구를 이용해 수확해야 한다. 가와지 볍씨의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