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한국, 제31회 아시아태평양수학올림피아드 종합 1위수학동아 l2019년 07호
- 1회 아시아태평양수학올림피아드(APMO)에서 한국 학생들이 종합 1위를 차지했습니다.1989년 처음 시작한 APMO는 아시아와 태평양 연안 국가에 사는 20세 미만의 대학 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이 수학 실력을 겨루는 대회입니다. 시차를 고려해 참가자들이 각 나라에서 동시에 시험을 치르지요 ... ...
- 후보2. 도마뱀 피부색의 비밀은 세포 자동자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보이나요? 초록색과 검은색 알갱이가 촘촘히 박혀 꼭 보석 같은 무늬를 만들고 있죠. 처음부터 이렇게 아름다운 피부를 가졌던 건 아니에요. 태어나서 5개월까지는 알갱이의 색이 갈색 또는 흰색이라 갈색 바탕에 흰 얼룩이 묻은 것 같은 모습이었죠. 그런데 태어난 지 5개월이 지나면 서서히 ... ...
- 탐험┃러시아, 혼자서 할 수 없다, 협력하라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그쳤고, 이 임무는 8개월 뒤 발사된 루나 2호가 수행했다. 1966년 2월 3일에는 루나 9호가 처음으로 달에 성공적으로 연착륙했으며, 1970년 9월 루나 16호가 최초로 무인으로 달 토양을 채집해 귀환하는 데도 성공했다. 그해 11월 루나 17호와 함께 최초의 무인 탐사 로봇(로버) 루노호트 1호가 착륙해 ... ...
- 탐험┃ 수성 & 금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NASA)이 1973년 11월 3일 마리너 10호를 발사했고, 마리너 10호는 1974년 3월 29일 처음으로 수성을 근접 비행했다. 수성에 지구처럼 자기장이 있고, 표면은 달과 유사한 크레이터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후 NASA는 2004년 8월 3일 탐사선 메신저를 발사했고, 2011년 3월 18일 수성 궤도에 진입하는 데 ... ...
- 영감┃우주인의 드레스룸과학동아 l2019년 07호
- SNS)에 스페이스X가 개발한 차세대 우주복을 직접 착용한 사진을 올렸다. 이 우주복이 처음 공개됐을 때, 실제 우주복인지 아니면 디자인만 적용한 것인지 논란이 있었다. 우주복치고는 굉장히 ‘슬림’했기 때문이다. 머스크가 입었던 우주복은 여압복의 일종으로, 두께가 얇은 것이 특징이다.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010년 12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외계생명체의 증거로 ‘비소 박테리아’를 발표했을 때 처음으로 미스터리가 풀리나 싶었다. NASA는 미국의 한 호수에서 발견한 박테리아 ‘GFAJ-1’이 지구의 생명체를 이루는 기본 원소 6가지(탄소, 수소, 질소, 산소, 인, 황) 중 인을 비소(As)로 대체하고도 살 수 ... ...
- 질서┃급팽창하며 진화하다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하필 우주는 셋 중 평면 형태가 됐을까.1981년 앨런 구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처음 제기한 급팽창(Inflation)이 이 의문을 해결해준다. 구스는 우주의 크기가 어떤 시점에서 굉장히 짧은 시간 동안 단번에 커졌다고 주장했다. 현재 우주에서 가장 빠르다는 빛의 속도(초속 약 30만km)만큼, 또는 ... ...
- 질서┃우주수축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행성의 빙하와 얼음이 모두 녹고, 온도가 계속 상승하면 하늘 전체가 불타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불그스름한 색으로, 다음에는 주황색으로 변하면서 온도는 이내 태양 표면의 온도와 맞먹는 수천K까지 치솟는다.우주의 크기가 현재의 100만 분의 1이 되면 온도가 현재 별 내부의 온도와 맞먹는 ... ...
- [수학뉴스] 수학자, 배우의 전성기를 예측하다!수학동아 l2019년 07호
- 결과가 나왔습니다.비토 라토라 영국 런던대학교 퀸메리칼리지 수리과학부 교수팀은 처음 영화가 제작된 1888년부터 2016년까지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전세계 남자 배우 151만 2,472명과 여자 배우 89만 6,029명의 자료를 모았습니다. 그리고 배우 별로 매년 참여한 작품 수와 연기 활동을 한 ... ...
- 탐험┃중국, 달 뒷면 찍고, 다음은 화성으로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그간의 달 탐사를 통틀어 달 뒷면에 착륙한 것은 창어 4호가 처음이기 때문이다. 달은 자전과 공전 주기가 27.3일로 같아, 지구에서 달의 뒷면을 맨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 또 착륙선이 달 뒷면에 무사히 도착해도 지구와 직접 교신할 수 없다는 기술적인 문제도 있었다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