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만성스트레스가 뇌신경질환 유발? 핵심 유전자 첫 확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있었지만, 스트레스가 신경줄기세포의 사멸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 교수는 “이번 연구로 만성스트레스가 유발하는 뇌신경 질환을 치료하는 열쇠가 SKG3 유전자라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향후 SKG3의 작용을 억제해 뇌신경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을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010년 UST를 졸업한 정 교수는 2014년부터 UST에서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 그의 연구실 문을 처음 두드린 이는 이왕식 U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캠퍼스 나노바이오공학전공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이다. 이 연구원은 현재 모든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논문 심사만 남은 상태다. 그는 “향후 미세입자의 ... ...
- [중국유학일기] 8시 등교, 6시 하교, 6일 수업 실습 프로그램 ‘866’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바뀌면서 신설됐다. 최근 우한대는 2학기에서 3학기로 학제를 바꿨다. 이로 인해 올해 처음으로 3학기가 개설됐는데, 이 프로그램은 3학기에 포함됐다. 프로그램은 초급, 중급, 고급의 3단계로 나뉘어 운영되는데, 기업이 제시하는 프로그래밍 항목 또는 본인이 직접 정한 목표를 2주 내에 완성하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벚꽃 흩날리는 봄날엔? 기타 줄을 춤추게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사이, 빠르게 돌아가는 프로펠러는 이미 다른 방향으로 움직여요. 결국, 한 장의 사진에 처음 모습의 프로펠러와 움직인 이후 모습의 프로펠러가 합쳐지면서 이상한 모습의 프로펠러가 나타나는 것이죠. 그래서 셔터의 속도를 조절하면 롤링 셔터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해요 ... ...
- [SW 진로 체험] 수학 사랑꾼, SW 개발자로 거듭나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연관이 있다고 생각했거든요. 그런데 막상 입사해보니 크게 관련이 없는 거예요. 처음에는 따라가기 힘들어서,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어요.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했나요?책도 찾아서 읽고 업무 시간에 배운 걸 완벽히 습득하기 위해 복습도 굉장히 열심히 했어요. 모르는 ...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볼바키아(Wolbachia)를 연구하고 있다(아래 사진). 모기를 숙주로 삼는 볼바키아는 1924년 처음 발견된 뒤 1971년 모기 번식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볼바키아는 다양한 방식으로 모기 번식을 억제한다. 우선 볼바키아에 감염된 수컷과 정상인 암컷이 교미해 낳은 알은 부화하지 못한다. 그 외에 ... ...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자신의 발명과 이론을 정리해 논문으로 발표하지 않은데다 기이하고 괴팍한 성격 탓에 처음에는 저평가됐다. 그러나 지금은 미국에서 가장 위대한 전기공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에디슨을 굴복시킨 사업가테슬라가 완성한 교류식 전기 공급 시스템의 특허권은 웨스팅하우스(당시 정식 명칭은 ... ...
- [미국유학일기] 화학 연구에 확신 심어준 여름 연구 펠로우십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화학이 많이 다르다는 사실이다. 동시에 화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확신도 생겼다. 처음에는 실험 결과가 잘 안 나와 좌절했지만, 실패를 반복하면서 많은 것을 알게 됐다. 그리고 훌륭한 교수님들뿐만 아니라 대학원 선배들과 친분을 쌓으면서 앞으로 대학원에 진학해 화학 연구를 ... ...
- [헷갈린 과학]접었다 펴는 휴대 전화 폴더폰VS폴더블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세상에 처음 나온 휴대 전화는 한 손에 잡기도 어려울 정도로 크기가 컸어요. 한국에서 처음 팔린 휴대 전화인 모토로라의 ‘다이나택 8000SL’은 길이 33cm, 무게 771g으로 ‘벽돌폰’이라고도 불렸지요. 이후 휴대 전화는 손바닥만 한 크기까지 작아지고, 키패드가 의도치 않게 눌리지 않도록 키패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별자리도 조금씩 변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별이 자신만의 고유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고유운동’이라 해요. 고유운동을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은 18세기 영국의 천문학자인 에드먼드 핼리예요. 그는 1718년, 2000년 전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인 히파르코스가 기록한 별의 위치를 검토했어요. 그러자 시리우스를 포함한 몇몇 별들의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