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정보를 염기서열로 바꿨다. ‘00’은 C, ‘01’은 T, ‘10’은 A, ‘11’은 G로 치환한 뒤, 사진 정보에 해당하는 DNA 가닥을 합성했다. 예를 들어 픽셀 정보가 ‘00011011’로 치환되면 ‘CTAG’라는 DNA 가닥을 만들었다. 연구진은 이렇게 만든 DNA 가닥을 대장균에 넣었고, 대장균에 존재하는 면역 시스템인 ... ...
- [Culture] 리코타 치즈 & 두부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오랜만에 늦잠을 자고 일어난 일요일 아침, 고픈 배를 무엇으로 달랠까 고민하며 냉장고를 열어보니 지난주에 사뒀던 우유 한 통이 그대로 남아 있네요. 과일 칸에서는 레몬청을 만들고 남은 레몬 한 개도 찾아냈죠. 그 순간 리코타 치즈가 떠올랐습니다. 만드는 방법이나 화학반응이 비슷한 두 ... ...
-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머지않은 미래에 의료진은 초인적인 시각과 촉각을 얻게 될 겁니다. 로봇 덕분이죠.” 로봇이 수술에 사용되는 방식은 두 가지다. 의사의 손을 대신하는 ‘수술 로봇’과 눈을 대신하는 ‘수술 내비게이션’이다. 수술 로봇은 배꼽이나 입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 흉터를 남기지 않는 수술에 주 ...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느끼는 것을 선택하게 했다. 이후 실험 참가자들이 또래 참가자들끼리 음악과 사진에 대한 의견을 나누게 했다. 그런 뒤 실험 참가자들에게 동일한 내용으로 다시 선택하게 하자 대다수가 자신의 의견을 다수의 의견과 동일하게 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좋아요’ 문화를 따른 셈이다 ... ...
- Part 4. 내 몸에 딱 맞는 인공지능 맞춤식단수학동아 l2018년 04호
- 그렇다면 휴대폰 카메라를 켜 주세요. 이제 음식 사진으로 재료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에 사진을 업로드 하세요. 그러면 음식에 들어간 재료와 조리법이 나옵니다. 이건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의 컴퓨터과학 인공지능 연구소에서 만든 ‘픽투레시피’입니다. 재료가 다 보이지 않아도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얇은 ‘패션 우주복’을 입었다. 머스크는 지난해 이와 동일한 우주복을 입고 찍은 사진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공개하기도 했다. 스타맨이 선택한 ‘우주 드라이빙’ 음악은 ‘스페이스 오디티(Space Oddity)’였다. 이 노래는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자국을 남긴 1969년에 발표됐으며, ... ...
- [Culture] 과일잼&미역잼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딸기, 사과, 포도, 블루베리…. 세상에는 수없이 많은 과일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잼으로 만들어지는 과일은 몇 가지뿐입니다. 과일잼으로 가장 친근하고 인기가 좋은 것은 단연 딸기잼입니다. 그렇다면 토마토잼은 어떨까요. 맛보기에 앞서 이름을 들어본 적 없는 분들도 많을 텐데요. 잘 ... ...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저는 ‘회로장이’입니다.” 이정협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는 자신을 이렇게 소개했다. ‘회로장이’는 전자회로 전문가를 빗댄 표현이다. 그는 이 분야의 올림픽으로 불리는 ‘국제고체회로학술대회(ISSCC)’에서 3년 연속 논문을 발표한 ‘금메달리스트’ 출신이다 ... ...
- [과학뉴스] 펠리칸거미 신종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사진 속 독특하게 생긴 거미는 ‘펠리칸거미’예요. 1억 6500만 년 전 지구상에 나타났으며, 현재는 마다가스카르 섬에서만 드물게 발견되고 있지요. 미국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한나 우드 연구원은 수백 개의 표본을 분석해 펠리칸거미 18종을 새로 발견했어요. 이들은 머리에 집게처럼 생긴 협각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KIST 미세먼지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문제는 2차 미세먼지!기자단 친구들은 가장 먼저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로 향했어요. 연구실을 둘러보기에 앞서 하헌필 미래융합기술연구본부 본부장님이 친구들에게 미세먼지가 무엇인지 질문을 던졌지요.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예요. 나쁜 물질로 이뤄져 있어서 우리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