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어둠 속의 사냥꾼 수리부엉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여러분이 가장 좋아하는 우리나라의 생물은 누구인가요? 작년 10월 국립생물자원관은 ‘내가 제일 좋아하는 우리 생물 101’ 대국민 투표를 실시했어요. 1만 3500명이 투표한 결과, 조류 부문에서는 수리부엉이가 1등을 차지했지요. 수리부엉이는 부엉이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종이에요. 야행성이 ... ...
- Part 1. 두둥~ 거대 공기청정기 나가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가장 먼저 만나 볼 사냥꾼은 공기청정기야. 대부분의 집에 한 대씩 있는 공기청정기가 뭐가 신기하냐고? 이 공기청정기를 보고도 그런 말을 할 수 있을까? 공기청정기로 미세먼지도 잡고 반지도 만든다고?올 겨울, 우리나라는 미세먼지의 피해가 유독 심했어요. 실제로 지난 1월에는 서울 일부 지 ... ...
- [DJ CHO의 롤링수톤] 가상현실로 듣는 동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있습니다. 360° 가상현실 영상이 있기 때문입니다. 360° 가상현실 영상은 모든 방향으로 사진을 찍거나 이미지를 만든 뒤, 자연스럽게 이어 붙여 만듭니다. 사방 어느 곳을 보더라도 가상으로 만든 세계가 보이기 때문에 진짜로 가상현실에 와 있는 착각을 일으키지요. 덕분에 노래 가사 속에 있던 ...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2008년 4월 8일 오후 8시 16분 39초. 이소연 씨가 승선한 러시아 소유스 TMA-12호가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발사센터에서 힘차게 날아올랐다. 588초 뒤 소유스 호는 정상궤도에 진입했다. 이 씨는 지상에서 약 300㎞에 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11일간 생활하며 초파리 생장, 신체 생리적 변화 계측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백두산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이유다.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위 사진)은 “백두산 분화 확률은 100%로, 그 시기와 규모를 예측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이를 위해 백두산 천지아래 마그마방의 상태를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본의 활화산인 온다케의 경우 ... ...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친환경적인 용매는 물입니다. 이 물로 반도체를 만들 수 있게 됐습니다.”신문처럼 둘둘 말리는 디스플레이. 차세대 디스플레이가 이토록 매력적인 문구로 표현되기 시작한 지 10여 년이 지났지만, 현실은 여전히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딱딱한 무기 반도체는 둘둘 ...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정보를 염기서열로 바꿨다. ‘00’은 C, ‘01’은 T, ‘10’은 A, ‘11’은 G로 치환한 뒤, 사진 정보에 해당하는 DNA 가닥을 합성했다. 예를 들어 픽셀 정보가 ‘00011011’로 치환되면 ‘CTAG’라는 DNA 가닥을 만들었다. 연구진은 이렇게 만든 DNA 가닥을 대장균에 넣었고, 대장균에 존재하는 면역 시스템인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만들어 지는데, Sox9 유전자가 모공 발달에도 꼭 필요한 유전자이기 때문입니다(아래 사진). 뼈와 모공, 전사인자 활동 달라Sox9 유전자가 발현되며 만들어낸 단백질 Sox9는 Pax6과 마찬가지로 전사인자로서 다른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합니다. 그렇다면 똑같은 Sox9가 어떻게 팔 다리싹에서는 뼈를 ...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느끼는 것을 선택하게 했다. 이후 실험 참가자들이 또래 참가자들끼리 음악과 사진에 대한 의견을 나누게 했다. 그런 뒤 실험 참가자들에게 동일한 내용으로 다시 선택하게 하자 대다수가 자신의 의견을 다수의 의견과 동일하게 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좋아요’ 문화를 따른 셈이다 ...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연구진은 사춘기 청소년에게 공포, 분노, 놀람, 슬픔 등 다양한 표정이 담긴 얼굴 사진을 보여준 뒤 이들 감정을 파악하도록 했다. 그 결과, 어른들과 달리 사춘기 청소년은 분노와 놀람을 잘 구분하지 못했다. 이는 아직 뇌가 ‘공사’를 마치지 않은 탓이다. 공포가 담긴 표정을 볼 때 성인은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