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오시리스 - 렉스 탐사선, 소행성 ‘베누’와 하이파이브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국가가 돼요. 오시리스-렉스 미션 연구 책임자인 단테 로레타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교수는 “베누가 태양계 형성 초기에 만들어진 소행성으로 추정되는 만큼 이번에 채집한 물질을 연구하면 태양계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한장의 과학] 블랙홀, 별이 스파게티처럼 쭈욱~, 늘어났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블랙홀로 빨려 들어갈 때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에요. 영국 버밍엄대학교의 매트 니콜 교수가 이끈 공동연구팀이 별이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 직후를 관찰하면서 발견한 현상이지요.연구팀은 남반구 에리다누스자리 부근에 있는 2억 1500만 광년 거리의 은하 중심부를 칠레에 있는 유럽남방천문대의 ... ...
- 노벨생리의학상│ 바이러스 사냥꾼들, C형 간염의 범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실제로 이 바이러스가 혼자서 질병을 일으킨다고 확인해야 했지요. 찰스 라이스 교수는 1996년 X꼬리를 붙인 유전자를 침팬지에게 주입해 간염이 발병하는 것을 확인했어요. 즉, 이 바이러스가 홀로 C형 간염을 일으킨다는 것을 밝혔답니다 ... ...
- [질문하면 답해ZOOM] 달에서 총을 쏘면 어떻게 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보아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그럴 땐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Q. 달에서 총을 쏘면 어떻게 될까요? (김미솔 brad999)결론부터 말 ... ...
- [통합과학 교과서] 왕자님을 집으로 돌려보내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걸러내는 필터 개발에 힘을 쓰고 있어요.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 라파엘 메젠가 교수팀은 지난 10월, 우유에서 얻은 ‘유청 단백질’과 활성탄을 이용해 만든 필터가 방사성 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답니다.연구팀은 유청 단백질을 사용해 단백질 섬유를 제작했어요. ... ...
- [특집] 티끌 모아 태산! 에너지 하베스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찾아라!Part4. [특집] 야생의 전기를 찾았다! ★도움이상민(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Josiah Hester(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맥코믹공과대학 전기및컴퓨터공학과 교수) ★참고 자료Energy harvesting: State-of-the-art(Adnan Harb, 2010 ... ...
- [특집] 찬란한 태양빛에서 전기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소리를 없애는 등 최대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을 함께 연구했답니다. 조시아 교수는 “배터리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배터리가 없는 전자기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얘기했어요. _ 인터뷰조시아 헤스터(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맥코믹공과대학 전기및컴퓨터공학과 ... ...
- [가상인터뷰] 명탐정 꿀벌은 냄새 훈련을 받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꿀벌이 일을 많이 할수록 더 많은 꽃들이 씨앗을 만들 수 있게 되는 거야. 월터 파리나 교수는 “최종 목표는 주변 환경이나 상황에 맞춰 농부가 원하는 농작물을 더 많이 생산하는 데 활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단다. 용어정리*수분 : 종자식물에서 수술의 화분이 암술머리에 붙는 일 ... ...
- [기획] 우주 생명체가 발견됐다?! 이제는 금성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사는 행성은 지구가 유일할까요? 태양계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곳은 화성이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화성에게 새 ... , 심채경(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선임연구원), 이덕환(서강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이연주(독일 베를린공과대학교 천문학센터 EU연구원 ... ...
- [특집] 문질문질 꾹꾹, 움직임 속 전기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신발을 만들고, 이를 이용해 LED 손전등을 켜는 영상(왼쪽 사진)을 공개했어요. 크루펜킨 교수는 “이론적으로는 1m2당 10W의 전력을 만들 수 있다”며, “이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충분히 충전할 수 있는 양”이라고 얘기했답니다. _ 인터뷰이상민(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