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에서도 지구처럼 싸자! 우주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비켜비켜! 나 지금 급해! 달 표면에서 탐사를 하고 있는데 갑자기 배가 살살 아픈 거야. 참을까 말까, 쌀까 말까 고민하다가 결국 우주선으로 돌아가기로 했지. 우리 우주선에는 달 탐사를 위해 특별히 만든 화장실이 있거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달에서도 지구처럼 싸자! 우주 화장 ... ...
- 데이터로 작곡한 교향곡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따라 음의 높낮이를, 별빛의 세기에 따라 음의 세기를 표현했어요.연구를 이끈 메트 루소 교수는 “우주를 새롭고 더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하기 위해 우주의 빛을 소리로 번역했다”고 말했어요. 이어 “이 작업을 하면 시각 장애인들도 우주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 식물 ... ...
- [만화뉴스] 로봇개, 험한 길도 문제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0월 21일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 마르코 후터 교수팀은 ‘애니말’이라 불리는 네 발 달린 로봇개가 눈밭과 자갈길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돕는 AI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기존 로봇은 카메라로 얻은 정보만으로도 편평한 땅을 걷는 데 큰 문제가 없었어요. 반면 눈밭이나 진흙탕, 빽빽한 ...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 길이 단위. 1μm는 1mm보다 1000배 짧다. ※필자소개임상훈(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고에너지 핵물리학을 연구한다. 미국의 상대론적 중이온 가속기(RHIC)와 유럽의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에서 각각 피닉스(PHENIX) 실험과 앨리스(ALICE) 실험에 참여한다 ... ...
- [천문대 소식] 지금은 천체물리학 전성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물리천문학부 안드레아 게즈 교수,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물리학연구소 라인하르트 겐첼 교수가 받았어요.올해를 비롯해 지난 4년 동안 천체물리학 분야에서 무려 세 번이나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나왔어요. 지난해엔 외계행성, 2017년에는 중력파를 연구해온 과학자들이 상을 받았죠. 앞으로, 관측 ... ...
- 놓치지 마! 2020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과학자가 되고 싶은 친구들, 주목! 지난 10월 5일부터 12일까지 2020년 노벨상 6개 부문의 수상자가 속속 발표됐어요. 이중 과학 분야인 노벨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을 살피면 미래 과학자가 해결해야 할 과제도 보이지요. 올해 수상한 연구 중에 맘에 드는 분야가 있다면 여러분도 ‘PICK’ 해 ... ...
- 노벨물리학상│20년간 우주 뒤져 블랙홀을 찾아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형성돼 점점 커지다 중력을 받아 중심으로 온 것으로 추정되지요. 서울대학교 우종학 교수는 “다양한 크기의 블랙홀을 찾아 블랙홀과 은하 진화의 비밀을 밝히는 데 중력파 검출기와 레이저 적응 광학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용어정리* 적외선 :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어 우리 ... ...
- 뇌 안에선 무슨 일이? 생각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친구들, 안녕? 나는 생각벌레! 지금도 꿈틀꿈틀 너의 뇌 속에서 움직이지.아! 물론 진짜 벌레는 아니니까 놀라지 않아도 돼.너희 그거 아니? 인간은 하루에 수천 번의 생각을 하고 살아. 생각이 전환될 때마다나, 생각벌레가 꿈틀꿈틀 대지. 무슨 말이냐고?궁금하면 날 따라와! ▼이어지는 기사를 보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임창환(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생체공학부 교수) Q지난 8월 공개된 거투르드 모습을 교수님께서도 생중계로 시청하셨다고요?저 같은 BMI* 연구자들은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새로운 채널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너무나 기뻐요. BMI 기술이 실용화되려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편리하고 정밀하게 뇌 ... ...
- 노벨화학상│생명과학에 혁명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죠.샤르팡티에 소장은 RNA를 연구하는 다우드나 교수에게 협력을 요청했어요. 둘은 연구 끝에 2012년 크리스퍼 일부와 tracrRNA를 합친 유전자 조각에 cas9 단백질을 더하면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자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이를 응용하면 원하는 유전자도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