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뉴스
"
반도체
"(으)로 총 2,564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미래가 기대되는 첨단소재 6
동아사이언스
l
2018.05.10
화학기업 ㈜니치아가 파란색 고효율 LED를 개발할 때만 해도 세상에 등장한 수많은
반도체
소재 중 하나일 뿐이었습니다. LED의 전성기는 약 10여 년 뒤인 2000년대 이후 활짝 열렸습니다. 전세계 LED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으로 약 41조 원으로 추정되는데, 초창기 개발사인 니치아 사가 혼자 시장의 14%를 ... ...
원자력硏 방사선기기 팹센터에 중소기업 2곳 입주…실용화 연구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8
공공시설 공조시스템에 라돈 검출기를 접목하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포셈 역시
반도체
를 이용해 흡수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해 주는 고효율 수광소자를 개발하고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정병엽 첨단방사선연구소장은 “팹센터는 이번 기업 유치를 시작으로 연구 분야를 ... ...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가지
과학동아
l
2018.04.30
크기가 수 nm 수준으로 작은 원자들이 뭉쳐져 있어 지름이 수십 nm에 지나지 않는 미세한
반도체
결정이다. 삼성전자는 2015년 발광다이오드(LED)에 양자점 소재를 사용한 QLED TV를 개발해 시판하고 있다. - 삼성전자 제공 물질은 크기에 따라 에너지 밴드갭이 달라지면서 전기적, 광학적 성질이 크게 ... ...
차세대
반도체
의 비밀 ‘공중부양’ 기술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4
구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 총책임자인 정연식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2차원
반도체
는 물론 금속성 2차원 소재인 그래핀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차세대 유연디스플레이용 트랜지스터나 광 검출기의 핵심 소재 제작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SF 속 투명 디스플레이 현실화 앞당긴다...컴퓨터 통한 투명
반도체
소자 탐색 기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23
반도체
로서의 성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실제 투명
반도체
후보 소재들의 불순물 형성 정보를 모아 전기전도도를 계산해, 높은 정확도로 후보 물질을 찾을 수 있음을 밝혀냈다. 연구 책임자인 한승우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신물질 선별을 실험으로 ... ...
세계는 지금 '신소재' 전쟁 중...과학-공학계 판도 뒤집을 ‘꿈의 소재’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4.20
일본 화학기업 ㈜니치아가 파란색 고효율 LED를 개발할 때만 해도 세상에 등장한 수많은
반도체
소재 중 하나일 뿐이었다. 빛 아티스트 베오 비욘드가 2013년 만든 발광다이오드(LED) 의상을 무대 공연자가 입고 있다. 베오 비욘드 LED의 전성기는 약 20년 뒤인 2000년대 이후 활짝 열렸다. 전 세계 LED ... ...
보안 이슈 이후의 인텔, 새 보안 위협 처리 기술 공개
2018.04.18
효과를 끌어내리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결국 가장 예민하게 작동하는
반도체
안에서 보안 위협을 잡아내고,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으로 완성된 보안 환경을 쉽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메시지를 주려는 것으로 읽어볼 수 있다. ※ 필자소개 최호섭. PC사랑을 시작으로 최근 ... ...
표준연, 백년의 난제 ‘플라스마 히스테리시스’ 현상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의료진단기기 등 다양한 기기에 들어가는 소자 생산 공정에 널리 쓰인다. 차세대
반도체
소자의 세정이나 증착에 필요한 플라스마 공정장비는 수 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수준의 공정이 가능하도록 안정된 플라스마 상태를 유지해야한다. 그런데 플라스마 히스테리시스 현상으로 그 상태가 ... ...
차세대 M램 소재 개발...전원 꺼져도 작업 내용 날릴 걱정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1
중 미리 저장해 두지 않은 정보는 전원이 꺼지면 모두 사라진다. 현재 컴퓨터의 메모리
반도체
가 전기 없이는 정보를 유지할 수 없는 ‘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이다. M램은 자석의 N극과 S극의 원리를 이용해 정보를 유지하면도 현재 휘발성 메모리 이상으로 빠른 처리속도를 갖췄지만, 기술적 ... ...
온도 차를 전기 에너지로...열전
반도체
고효율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3.29
도핑 개념을 최초로 적용한 것”이라며 “공정 단가를 줄였을 뿐아니라 성능 좋은 열전
반도체
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학술지 ‘엑타 머티리얼리아(Acta Materialia)’ 3월 1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