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계속해서 보여주면서 이것이 A라고 학습을 시키는 수밖에 없다. 결국 오류를 고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 이 오류가 완벽하게 해결됐는지 확인할 방법도 없다. 얼굴 인식 AI가 사생활을 침해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중국 정부는 13억 명이나 되는 전체 인구를 3초 만에 인식하는 기술을 ...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50년간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이 사회 저변에 스며들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습니다. 앞으로는 한걸음 더 나아가 과학기술이 산업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인재를 육성하는 등 기반 조성에 힘쓰겠습니다.” 1967년 한국과학기술후원회로 시작한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올해 50주년을 맞았다.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런 기술은 센서 네트워크 상의 보안 기술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방패는 센서 노드 간에 보안키를 설정해 만들고, 창은 보안키를 해킹하면 가능합니다. 보안키를 해킹하려는 사람과 지키려는 사람의 숨 막히는 대결, 정말 기대되지 않나요 ...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체했을 때와 통증이 유사합니다. 이럴 땐 소화제를 먹거나 손톱 밑을 바늘로 찌르면서 시간을 낭비해선 안 됩니다. 협심증도 대표적인 전조 증상 중 하나입니다. 협심증도 여러 가지여서 강하게 스트레스 받을 때만 통증이 나타나는 안정형 협심증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통증이 사라졌다고 안심할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편집자주 - 이번 화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간 애독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돌이켜 보면, 지옥문을 열어젖힌 책임은 전적으로 내게 있 ... 되면 유황불 속의 생물학자가 과연 어떠한 도움을 내게 제공해줄지, 그 의문이 마침내 풀릴 순간을 나는 조용히 기다리고 있다 ... ...
- [과학뉴스] 귓불에 대각선 주름 있으면 치매 위험 높아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귓불에 생기는 주름은 오랫동안 의학계의 관심사였다. 그간 귓불 주름은 단순히 노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심장질환과 고혈압, 당뇨, 뇌졸중 등 질병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꾸준히 보고됐다.이진산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와 서상원 서울삼성병원 ... ...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어 당분간 포경선 추적 작업이 힘들 것 같다”고 반박했다. 시 셰퍼드는 과학동아에 그간 일본의 포경 활동을 막기 위해 오션 워리어가 어떤 활동을 벌여왔는지 3페이지에 이르는 장문의 글을 보내왔다. 지면 사정상 원문을 축약해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Defending the Oceans: Sea Shepherd’s Ocean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포함됐다. 특정 기간 논문의 평균 인용 횟수를 파악하고(피인용횟수), 논문 발표 뒤 10년간 피인용도가 상위 1%에 해당하는 논문 수를 조사하며(고피인용도 논문 수), 논문이 발표된 해에 얼마나 빨리 많은 연구자들에게 인용됐는지(즉시성 지수) 등을 통해 논문의 질적 수준을 일차적으로 판단할 수 ...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방해석 성분인 플랑크톤과 조개류 등의 사체가 쌓여 다져진 뒤 약간의 불순물이 들어간 퇴적암이다. 대리암은 이 석회암이 지층 속에서 높은 온도와 압력을 받아 결정이 치밀하게 재배열된 변성암이다. 피라미드에서 지구온난화 해법까지고대 이집트와 그리스, 로마 문명은 빛나는 인류의 ...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자신의 평판을 높임으로써 나중에 남들로부터 파트너로 낙점 받기 위함이다. 바로 간접 상호성 이론이다. 따라서 누가 협력하고 누가 배신했는지가 집단 내에 쉽게 알려지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실생활에서 협력을 더 꽃피울 수 있다. 여러분이 공공 정책을 입안하는 지도층이라면, 시민들로부터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