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미경 속 열대어, 찹쌀 도넛, 네잎 클로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때 친구들과 옹기종이 모여 앉아 하던 공기놀이가 생각난다. 공기알 같은 해양
식물
플랑크톤인 탈라시오시라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탈라시오시라는 실타래를 내뿜어 옆 세포에 붙는다. 배율은 1500배 ... ...
열대 해양생물의 천국 미크로네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산호는
식물
플랑크톤과 공생 관계를 이루며 산다. 그런데 바다에 흙탕물이 유입되면
식물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못해 죽고 만다. 흙탕물이 산호를 죽이는 이유다. 박흥식 박사는 “필리핀 등이 관광지 개발에 나서려고 맹그로브를 베어냈다 산호초가 다 죽는 피해를 입었다”고 설명했다. 태풍이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한다 정자는 동물에뿐 아니라
식물
에도 존재하는데, 녹조류 이끼
식물
양치
식물
소철류 은행류 등에서 볼 수 있다뇌 속의 특정한 뉴론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한다 예로는, 중뇌의 흑질(黑質) 뉴론에서 대뇌반구의 미상핵에 이르는 신경섬유에 도파인이 함유되어 있다 파킨슨씨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수만 있다면 그대로 모방하는 일도 가능합니다.”조 교수는 2차원 분광학으로 광합성 때
식물
의 단백질이 빛에 반응하는 과정과 광자(photon)가 엽록소에 에너지를 전달한 뒤 소멸하는 과정을 담은 스펙트럼을 얻었다. 여러 색으로 나타난 스펙트럼의 강도를 분석하면 시간에 따라 단백질이 어떻게 ... ...
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북극을 연결하는 큰 반원.1707년 5월 23일‘분류학의 아버지’카를 린네 출생스웨덴의
식물
학자로 분류학의 뼈대를 만들었다. 그는 특히 생물의 학문적인 이름을 정하는 이명법을 창안했다. 이명법은 어떤 생물이 속해 있는 속과 종을 이용해 그 생물에 이름을 붙이는 방법이다.1889년 5월 2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있다 아스파라긴산이라고도 한다 유리된 상태로는 보통 L-아스파르트산으로서 동물 ·
식물
에도 존재하며 특히 사탕수수와 사탕무의 당밀에 많다 L-아스파르트산은 단백질의 구성성분으로도 존재한다 D-아스파르트산은 항생물질 바시트라신의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아스파라긴의 ... ...
부리와 깃털 가진 '초대형' 공룡?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발견된 적이 있다. 침엽수처럼 거친 먹이를 소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위석은 공룡이
식물
을 먹었다는 증거다. 따라서 기간토랩터도 잡식성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혼돈 속에 빠진 공룡학자새와 비슷한 부리와 깃털을 가진 ‘초대형’ 공룡이 중생대 백악기에 존재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지금까지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되었다 종자
식물
의 수정(受精) 과정을 연구하고 베네덴, 기냐르와 감수분열을 발견(1888),
식물
의 발생학을 개척했다 유전자 조작기술로 만든, 체중이 평상의 2배가 넘는 마우스 1982년 미국 워싱턴 대학에서 마우스의 수정란(受精卵) 핵 속에 래트의 성장 호르몬을 분비하는 구조유전자와 그 ... ...
과학의 열정 무대에서 불사르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있는 ‘사이 아트홀’에서 매달 2회 정기공연을 하게 됐다.첫 연극의 성공에 힘을 얻어
식물
의 호흡과 광합성을 다룬 ‘나무와 태양의 비밀 이야기’, 빛의 반사와 혼합을 소재로 한 ‘모두 모여 흰 세상 I’을 연달아 무대에 올렸고 지방에서도 몇 차례 공연했다.“나무와 태양의 비밀 이야기 그건 ... ...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있어요. 그러면 돌연변이가 되는 거죠.누가 알아 냈지?돌연변이는 19세기 말 네덜란드의
식물
학자 드브리스가 달맞이꽃을 연구하다가 처음 알아 냈어요. 드브리스는 돌연변이가 유전된다는 사실을 알아 냈죠. 즉 제가 공주님과 결혼해서 아기를 낳으면 평범한 거북이가 아닌 우리처럼 슈퍼 거북이가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