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방랑자 구상성단 무리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사이를 떠돌아다니는 구상성단 무리를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4월 12일자에 발표된다.구상성단은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천체로 약 100만 개의 별이 축구공처럼 둥글게 모여 있다. 평균 나이가 120억 년이나 된다. 그동안 구상성단은 은하 안에서 주로 ... ...
화성 대기 사라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회전하는 서로 다른 입자의 흐름 때문에 화성의 대기가 희박해진다는 사실을 국제
학술
지 ‘지오피지컬 리서치 레터’ 3월호에 소개했다. 태양풍 내에는 속도가 서로 다르지만 상호작용하는 독특한 물질의 소용돌이(CIRs)들이 있다.태양풍은 헬멧 모양의 코로나 빛(광휘)에서 나오는 느린 태양풍과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천 기술, 기초 학문에서 나온다”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
지에 다섯 번씩이나 표지논문으로 실리고, 과학저널 ‘네이처’에서 주목받는 연구로 소개되는, 가문의 영광과도 같은 성과들을 어떻게 짧은 기간에 그토록 여러 번 낼 수 있었을까. 김상국 교수는 “컴퓨터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오기 전인 2001년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아래에 있는 진화연산학회가 국제진화연산
학술
대회를 서울에서 개최했는데, 그는 이를 통해 많은 국내 연구자들과 교류했던 기억이 있다. 맥케이 교수는 올여름에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인공지능학회를 대구에서 개최할 계획이다.그는 ... ...
동전 크기만 한 담수화 장치 개발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설치한 1600개 나노 탈염 장치에서 1분에 300mL의 식수를 얻을 수 있다. 이 기술은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3월 21일자 인터넷판에 소개됐다 ... ...
양귀비 진통 효과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즙을 진통제 성분으로 바꿔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바이오케미스트리’ 3월 14일자에 소개됐다.연구진은 약 2만 3000종에 이르는 양귀비 유전자를 정밀 비교했다. 분석 결과 T6ODM효소가 양귀비 열매의 알칼로이드 성분인 테바인을 코데인으로, 이를 ... ...
식품으로 마음의 평화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걸로 나타났다. 미국 신시내티대 의대 정신과 로버트 맥나마라 교수팀은 2007년 국제
학술
지 ‘정신분열증 연구’에 발표한 논문에서 정신분열증 환자의 안와전두피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정상인보다 DHA가 20%나 적었다고 보고했다. 안와전두피질은 뇌에서 감정을 조절하는 부위로 ... ...
인도 패러독스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연구자들은 이에 대해 데아닌이 교감신경계의 활성화를 억제한 결과라고 2007년 국제
학술
지 ‘생물심리학’에 발표했다.한편 데아닌 자체는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영국 노스움브리아대 심리학부 앤드류 숄레이 교수팀은 2008년 같은 저널에 카페인과 데아닌을 함께 ... ...
김빛내리 교수 ‘셀’지 편집위원에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석학 116명이 참여하고 있다.셀은 마이크로RNA를 연구해 국제과학논문인용색인(SCI)급 국제
학술
지에 49편의 논문을 발표한 김 교수의 연구성과를 높이 평가했다. 김 교수는 앞으로 셀에 제출된 논문을 심사하고 관련 연구 분야에 자문을 하게 된다. 김 교수는 이에 앞선 1월 5일 현택환(46)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캘리포니아대 생리학과 유리 키리초크 교수팀은 2월 초 발행된 생명 분야의 전문
학술
지 ‘셀’에 그 해답을 공개했다. 키리초크 교수가 주목한 것은 바로 정자의 표면 막에 있는 ‘Hv1’이라는 분자였다. Hv1이란 분자가 수소이온을 밖으로 배출하는 구멍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Hv1의 문을 여는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