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대기 사라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회전하는 서로 다른 입자의 흐름 때문에 화성의 대기가 희박해진다는 사실을 국제
학술
지 ‘지오피지컬 리서치 레터’ 3월호에 소개했다. 태양풍 내에는 속도가 서로 다르지만 상호작용하는 독특한 물질의 소용돌이(CIRs)들이 있다.태양풍은 헬멧 모양의 코로나 빛(광휘)에서 나오는 느린 태양풍과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천 기술, 기초 학문에서 나온다”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
지에 다섯 번씩이나 표지논문으로 실리고, 과학저널 ‘네이처’에서 주목받는 연구로 소개되는, 가문의 영광과도 같은 성과들을 어떻게 짧은 기간에 그토록 여러 번 낼 수 있었을까. 김상국 교수는 “컴퓨터 ... ...
양귀비 진통 효과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즙을 진통제 성분으로 바꿔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바이오케미스트리’ 3월 14일자에 소개됐다.연구진은 약 2만 3000종에 이르는 양귀비 유전자를 정밀 비교했다. 분석 결과 T6ODM효소가 양귀비 열매의 알칼로이드 성분인 테바인을 코데인으로, 이를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후 이 교수는 은하와 은하 사이를 떠돌아다니는 구상성단 무리를 처음으로 발견해 국제
학술
지인 ‘사이언스’ 3월 1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에 쓰인 구상성단 데이터는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한 것이다. 허블우주망원경과 그의 인연은 여전히 유효했다.허블우주망원경이 준 선물, ... ...
우주방랑자 구상성단 무리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사이를 떠돌아다니는 구상성단 무리를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4월 12일자에 발표된다.구상성단은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천체로 약 100만 개의 별이 축구공처럼 둥글게 모여 있다. 평균 나이가 120억 년이나 된다. 그동안 구상성단은 은하 안에서 주로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오기 전인 2001년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아래에 있는 진화연산학회가 국제진화연산
학술
대회를 서울에서 개최했는데, 그는 이를 통해 많은 국내 연구자들과 교류했던 기억이 있다. 맥케이 교수는 올여름에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인공지능학회를 대구에서 개최할 계획이다.그는 ... ...
식품으로 마음의 평화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걸로 나타났다. 미국 신시내티대 의대 정신과 로버트 맥나마라 교수팀은 2007년 국제
학술
지 ‘정신분열증 연구’에 발표한 논문에서 정신분열증 환자의 안와전두피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정상인보다 DHA가 20%나 적었다고 보고했다. 안와전두피질은 뇌에서 감정을 조절하는 부위로 ... ...
뱀장어에 고등어 꼬리 붙이면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만일 고등어처럼 움직이는 뱀장어와 뱀장어처럼 헤엄치는 고등어가 경주를 펼치면 누가 이길까.미국 미네소타대 기술연구소 포티스 소티로폴리스 교수팀 ... 수영법이 결정된 것은 유속환경의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결론을 내렸다.이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실험생물학’ 2월호에 발표됐다 ... ...
인도 패러독스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연구자들은 이에 대해 데아닌이 교감신경계의 활성화를 억제한 결과라고 2007년 국제
학술
지 ‘생물심리학’에 발표했다.한편 데아닌 자체는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영국 노스움브리아대 심리학부 앤드류 숄레이 교수팀은 2008년 같은 저널에 카페인과 데아닌을 함께 ... ...
암, 에이즈와 싸우는 바이러스 총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바이러스(VSV)’가 단백질과 RNA사슬이 나선형으로 감긴 총알 모양을 하고 있다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2월 5일자에 소개했다.VSV처럼 RNA를 유전물질로 지니는 바이러스가 총알처럼 생겼다는 사실은 이미 예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총알 모양을 이루는지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