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분명하다고 생각했다.우리 은하 구조와 섬우주론에 대한 논쟁은 1920년 미국
학술
원에서 섀플리와 커티스의 논쟁으로 이어졌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 결국 1925년 미국의 에드윈 허블이 안드로메다성운에서 변광성(시간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별)을 관측해 거리를 정확히 알아내면서 ... ...
국내 과학글쓰기의 현주소를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과학 커뮤니케이터’라는 전문가들을 양성해왔다. 또 퓰리처상이나 영국 왕립
학술
원 문학상 같은 권위 있는 과학저술상을 통해 과학글쓰기를 장려해 왔다. ‘원더풀 사이언스’를 쓴 나탈리 앤지어나 ‘이기적 유전자’를 쓴 리처드 도킨스 같은 유명 작가들도 이러한 사회적 배경이 뒷받침 ... ...
나노기술이 여는 식도락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식품 회사들이 자체적으로 보고한 자료와 미국 워싱턴 DC에 자리한 ‘우드로 윌슨 국제
학술
센터’가 진행한 조사를 바탕으로 했다. 이 때문에 실제 시장에는 발표된 수치보다 훨씬 많은 나노푸드가 등장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나노푸드가 식품점을 잠식해 들어가고 있는 ... ...
지구온난화, 엘니뇨에 영향 준다는 근거 없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각국에 큰 눈 피해를 입힌 기상 이변의 원인은 과연 무엇일까.영국에서 발행하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5월 23일자 인터넷판은 연세대 대기과학과 안순일 교수를 비롯한 12명의 기후학자들이 이번 폭설과 관련해 그간 발표된 해수층과 대기 환경의 연구 결과를종합한 논문을 소개했다 ... ...
‘솔직한 인간’이 밝히는 인간의 실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어떤 동물인지 그 실체를 낱낱이 파헤치고 싶다면, 인간의 본질에 대한 어렵고 진부한
학술
자료에서 벗어나 마치 수필이나 소설을 읽듯이 재미있게 읽고 싶다면 독자를 위해 과감히 (거울앞에서 혼자) 옷을 벗은 한나 홈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보자. 1글 이정아 기자 zzunga@donga.com눈길이 머무는 ... ...
시간 흐르면 독한 암세포도 방심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리 박사 연구팀은 최근 돌연변이 세포가 약에 저항성을 띠는 메커니즘을 생물학 분야의
학술
지 ‘셀’ 5월 2일자에 소개했다. 연구팀은 암세포 가운데 항암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세포를 따로 분리한 뒤 일정 시간 동안 관찰했다. 그 결과 처음에는 약에 저항성을 띠던 세포들이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 ...
침팬지도 죽음을 애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동물도 사람처럼 동료의 죽음을 보고 슬퍼할까.자신과 가까운 가족의 죽음을 보면서 존재와 삶의 의미에 대한 자의식을 가질 수 있을까. 이 같은 자의식은 ... “자신을 인식하는 자의식과도 관련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
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4월 27일자에 실렸다 ... ...
고지대 남아공월드컵에서 승리하는 비법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비만 남성 20명을 해발 2650m에서 1주일 동안 지내게 한 뒤 몸무게를 측정해 그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식욕’에 발표했다. 실험참가자들은 특별한 운동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평균 약 1.5kg씩 줄었다. 산소가 부족한 고지대에서는 숨이 빨라지고 심장박동수가 증가해 에너지가 더 많이 ... ...
작전명령 ③ 최선의 방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교수가 적어 둔 거였는데 단치히가 풀었던 거야. 단치히는 풀리지 않는 문제를 풀어
학술
지에 실리는 영광을 얻게 됐어. 그리고 이 이야기는 영화 ‘굿 윌 헌팅’의 소재가 됐지.선형계획법은 전쟁 속 에서 태어난 수학이지만 지금은 경제와 경영 분야에서 폭넓게 쓰이고 있어. 제한된 조건에서 ... ...
줄기세포로 청각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달팽이관의 유모(有毛)세포로 성장시키는 방법을 찾았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
적 가치를 인정받아 생명과학저널 ‘셀’ 5월 14일자에 실렸다.유모세포는 머리카락 같은 돌기를 이용해 주변의 소리(진동)를 감지한 뒤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 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