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 지금까지 확인된 최초의 인류. 약 500만 년 전에 살았다.* 후두 : 목 앞쪽에 있는 기관으로 성대가 들어 있다.인종 식문화에 따라 다른 얼굴형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얼굴형을 갖고 있어요. 얼굴이 전체적으로 둥근 사람도 있고, 턱이 발달해 얼굴이 각진 사람도 있지요. 사람마다 타고난 유전자와 ... ...
- [생활] 허리케인이 만든 음악을 들어보세요수학동아 l2015년 02호
- 구성하고 있는 가로축과 세로축이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둔 쪽지나 메모를 확인할 수 있다. 미에바크는 과학자도 통계학자도 아니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를 자신만의 방법으로 표현하고 정리하기 위해 바구니를 만들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예술과 과학의 만남을 ... ...
- PART 2. 빙하동물의 천국, 매머드 스텝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관목) 도 별로 없는 목초지였다. 스텝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습한 스텝(유라시아 북서쪽, 북위 62도 부근)과 건조한 스텝(시베리 아 중부와 몽골 부근)이 있었다. 습한 스 텝에서는 매머드가 살았고 건조한 곳에 서는 코뿔소가 많이 살았다.당시 매머드 스텝에서는 털매머드, 스 텝 바이슨, 털코뿔소, 말 ... ...
- [과학뉴스] ‘비만 유전자’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FTO라는 유전자가 있다. 상동염색체 한 쌍 중 한쪽에 FTO가 있으면 체중이 1.6kg이 늘고 양쪽 모두 있다면 3.2kg이 는다는 통계 연구가 있기 때문에, 그 동안 이 유전자는 비만 확률을 높이는 ‘비만 유전자’로 꼽혀 왔다. 하지만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만의 원인은 이 유전자가 아니다.미국 예일대 ... ...
- [과학뉴스] 4대강이 댕강~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대강대강 4대강 / 공사고 준설이고 / 대강대강 말라고 / 그렇게 일렀건만 / 댕강~ 보 16에 / 강의 목숨 날아갔네 / 대강 댕강 4대강 / 그 강을 건너버린 / 통곡의 4대강 / 강을 죽인 ... 내 이럴 줄 알았지 (4대강 사업에 대한 정부의 조사 평가 보고서가 지난해 12월 말 나왔다. 관련기사는 142쪽) ... ...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대륙이 지금의 형태를 갖춰가면서 해류에 변화가 생겼다. 다른 대륙이 떨어져 북쪽으로 가자 남극이 고립됐고, 남극 주위를 도는 순환해류가 생겼다. 남극이 바닷물의 흐름에서 고립됐다는 뜻이다. 해류는 남극대륙의 열을 저위도로 퍼날랐다. 대신 난류가 심층수의 형태로 다가와 수분을 공급하자 ... ...
- [과학뉴스] “내가 평범한 개로 보이니?”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설명을 들어보니 결코 평범한 사진이 아니란다.“지금 이 사진에, 워드프로세서 문서 2쪽 분량의 글이 들어가 있어요. 보이시나요?”한상근 KAIST 수리과학과 교수가 말했다. 한 교수는 출판사 사이언스북스와 KAIST, 동아사이언스가 함께 주최한 ‘KAIST 명강 4-수학으로 IT 세상을 풀어라’ 두 번째 ...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망망대해에서 아플 때는 정말 힘들었다”고 말했다.마르쿠스 에릭슨 박사(왼쪽).왜 이것밖에 안 나오지?“우린 100배는 많이 나올 줄 알았어요.” 그가 보내온 메일에는 실망이 묻어있었다. 2600만t 정도는 나올 줄 알았다는 말이다. 특히 4.75mm 미만의 마이크로플라스틱이 3만5540t으로 예상보다 훨씬 ... ...
- 어렵지 않아요! 투명 망토 만드는 세 가지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바로 이 굴절률을 이용했어요. 수조 뒤에서 나오는 빛(배경)은 수조에서 물을 만나 바깥쪽으로 꺾여요. 그 뒤 두 번째 수조를 만나 다시 원래대로 돌아와요. 우리 눈에는 마치 수조 사이에 있는 물체가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거지요.이처럼 빛이 굴절해서 벌어지는 현상에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밥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수 있는 두 도형을 같은 도형으로 생각한다. 이런 도형을 ‘위상동형’이라 한다.오른쪽 사진은 뜨개질로 만든 쌍곡면 치마와 클라인 병이다. 색깔 별 실의 양이나 놓이는 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한 채로 꿰었던 실을 풀어 모양을 바꾸고 이를 다시 연결해 만들었다. 이들은 서로 위상동형이다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