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실"(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파로 마음을 읽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생각에 따라 뇌파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사실을 이용해 손을 움직이는 상상을 할 때는 ‘예’, 간단한 암산을 하는 경우 ‘아니오’라는 의미를 주기로 환자와 약속했어요. 그리곤 실시간으로 뇌파를 측정해 환자와 의사소통을 하는 데 성공할 수 ... ...
- [통합과학교과서] 범인은 바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빛 중 파란빛과 빨간빛을 흡수하고 초록빛을 반사하기 때문이죠.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은 태양이 내뿜는 가시광선 스펙트럼 중에서 초록빛을 흡수하면 식물이 가장 많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는 거예요. 그런데 왜 식물은 초록빛을 흡수하지 않고 반사할까요? 답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 ...
- [Go! Go! 고고학자] 뼈로 삼국시대 사람을 되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인골(사람의 뼈)도 발견되었어요. 여기에는 남녀노소의 다양한 뼈가 섞여 있었지요.사실 발굴 조사가 진행되던 1980년대에는 이렇게 발견된 인골을 화장하거나 이장하는 것이 관습이었어요. 당시에는 고인골을 연구하는 방법이 잘 알려지지 않았을뿐더러, 뼈에 깃든 귀신이 화를 부를지도 모르니 ... ...
- [과학뉴스] 오존 구멍 34년 만에 최소!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5월, 영국의 기상학자인 조셉 파르만 연구원팀이 매해 남극 상공의 오존이 줄어들고 있단 사실을 발표하며 전세계는 오존 구멍 크기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답니다.그런데 최근 NASA가 이와 반대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올해 10월, NASA가 34년 만에 남극 오존 구멍의 크기가 가장 작아졌다고 발표한 ... ...
- [가상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빠른 개미, 사하라 은색 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우리가 1초에 47걸음을 걷고, 1초마다 우리 몸길이의 약 108배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한단 사실을 알아냈지.그렇게 빨리 달릴 수 있는 비결이 뭐야? 우리 몸의 구조가 뜨거운 모래에 최대한 닿지 않도록 진화했거든. 우린 다른 개미들보다 다리가 길기 때문에 땅에서 4mm 정도 떨어진 채 걸을 수 있어. ... ...
- 빛으로 뇌를 조종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생각하기 쉬울 거예요. 하지만, 아기새들도 부모새의 지저귐을 듣고 학습한다는 사실은 이전 연구들을 통해 알려져 있었어요.그런데 지난 10월 4일, 미국 텍사스대학교 토드 로버츠 교수팀은 아빠에게 노래를 배운 적이 없는 아기 금화조의 뇌를 조작해 인위적으로 노래를 하도록 만드는 데 ... ...
- 뇌도 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하지만, 뇌 수집에 대해 아무래도 일반 대중들이 정서적으로 많은 부담을 느끼는 것도 사실이지요. 해결해야 할 문제 중 하나랍니다. 대중이 뇌를 이해하고 기증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길 바랍니다. 용어정리 * 자가융해 : 조직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 작용에 의해 스스로 조직이 파괴되는 ... ...
- [열혈가족] 올해 목표는 거미와 친해지기! 푸른누리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오만 가지 곤충을 볼 수 있는 야간 탐사와 별자리 관측은 매년 해도 질리지 않아요. 사실 저는 생물에 대해 아직 잘 몰라요. 생물 지식은 고참 리더 팀인 발자국 팀 엄재윤 오빠나 리즈 팀 이원재 오빠처럼 박식한 사람들을 따라갈 수 없죠. 그래서 여름 캠프에 가도 저는 주로 설명하기 보단 행동하는 ... ...
- 화이트호스● 오로라, 눈앞에 나타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오는 날 밤에 보이는 구름처럼, 하늘에 희미한 빛이 걸려 있었지요.“오로라죠? 맞죠?”사실 밝은 오로라를 보기는 쉽지 않아요. 기상 조건이 잘 맞아야 할뿐더러, 태양의 활동도 강할 때 오로라가 훨씬 잘 보이거든요. 이튿날에는 구름이 잔뜩 끼는 바람에 하늘을 전혀 볼 수 없었어요. 드디어 마지막 ... ...
- [노벨물리학상] 우주의 진화와 구조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그로부터 20년 뒤 실제로 우주배경복사에 최대 10만분의 1K 만큼의 온도 차가 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이뿐만 아니라 피블스 교수는 우주 초기의 밀도 차이로 은하의 분포를 알아내는 이론도 세웠어요. 우주 초기 물질의 밀도가 높았던 곳은 현재 은하가 많이 생성됐을 거예요. 초기의 밀도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