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열혈가족인터뷰] 그린 가디언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탐사했답니다. 그 결과 생태계 교란 식물이 토종 식물의 생장을 심각하게 방해한단
사실
을 알아냈죠.Q 와! ‘우점도’라니, 전문가의 향기가 나요!연주 습지 생태계를 연구하시는 나미연 선생님이 지도교사를 맡아 탐사의 방향을 잡도록 많이 도와주셨어요. 역할분담을 해 주셔서 각자 책이나 관련 ... ...
[한페이지 뉴스] 외계행성 19개 화학조성 보니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알아냈다. 그 결과 외계행성 19개 중 14개가 대기에 수증기 형태로 물이 존재한다는
사실
이 확인됐다. 다만, 존재하는 물의 양은 일반적인 태양계 행성의 100분의 1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반면 소듐, 포타슘 등 무기 원소의 비율은 외계행성이 태양계 행성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구팀은 이를 ... ...
[한페이지 뉴스] 5700년 전 껌 화석의 주인은?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증거다. 슈뢰더 교수는 “뼈가 아닌 껌 화석에서 온전한 유전체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
에 놀랐다”며 “지금은 분석하기 힘든 고대 인류의 구강질병, 식습관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귀중한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 ...
가짜뉴스와의 전쟁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SNS에 대한 기본적인 믿음도 작용한다. 친분이 있는 지인이 올린 SNS 게시물을 쉽게
사실
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기존에 소비한 콘텐츠와 유사하지만 좀 더 자극적인 내용을 추천받고, 이에 따라 유사 콘텐츠에 갇히는 현상인 이른바 ‘필터 버블(filter bubble)’이 형성된다. 이미 ... ...
[1920~2020, 로봇 100년] 로봇 혁명 히스토리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바로 ‘로봇(robot)’이다. 2020년은 로봇이라는 단어가 처음 쓰인 지 100년이 되는 해다.
사실
인간의 형상을 닮은 자동화된 기계의 개념은 오래전부터 있었다. 작가 차페크도 여기에 기반해 ‘강제 노동(robota)’이라는 뜻의 체코어에서 이름을 딴 ‘로봇’을 등장시킨 것이다. 하지만 이름값(?)을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위치가 정해져 있지 않은데 로봇이 알아서 찾은 다음 싱크대에 두고 닦는 행위에는
사실
굉장히 복잡한 기술이 집약돼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요? 사람과 의사소통을 해야 하니 음성 인식 기술과 여러 정보를 처리해 판단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합니다.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노이즈 캔슬링도 최근에서야 빛을 발하게 됐다. 놀이공원에도 노이즈 캔슬링이?
사실
노이즈 캔슬링은 음향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미 익숙한 기술이다. 콘서트홀이나 방송국 스튜디오는 물론 휴대전화에도 노이즈 캔슬링 기술이 탑재돼 있다. 이를 통틀어 ‘AEC(Active Echo Cancelling)’라고 부른다. ... ...
[미국유학일기] 아이폰의 나라에 매료되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시험이다. 민사고는 다양한 AP 수업이 있어 나는 학교에서 시험을 준비할 수 있었다.
사실
SAT와 AP 시험은 과목과 공부 방식이 한국 입시와 다를 뿐 결국 답을 써내는 시험이다. 오히려 오랜 시간 신경 써서 준비해야 할 것은 교외 활동(Extracurricular Activity)이었다. 이는 대학 당락을 가를 만큼 굉장히 ... ...
[독일유학일기] 아헨공대 자퇴하고 카를스루에공대로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합격통지서가 도착했다. 아헨공대 산업공학과를 제외한 나머지 대학에 모두 합격했다.
사실
어느 정도 예상했던 결과였다. 독일은 이공계 지원자가 적어 이공계열 학과의 커트라인이 높지 않다. 독일은 성적 커트라인을 1.0(최상)~4.0(최하)으로 매기는데 아헨공대 기계공학과는 3.7 정도다. 그래서 그 ... ...
[수학뉴스] 테렌스 타오 교수 덕에 빛을 본 고유 벡터 연구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아니라 다른 행렬에도 이 방정식을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
을 증명한 거죠. 재밌는
사실
은 2011년 네덜란드 델프트공과대학교에서 네트워크 이론을 연구하는 피에트 판 미에그헴 교수가 이 방정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값인 ‘고유 벡터 항등원’을 이미 연구했다는 점입니다. 타오 교수의 연구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