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수학동아 l2010년 10호
- 1, 2, 3루로 이뤄진 내야는 정사각형이다. 이참에 작도를 하듯이 야구장을 한번 그려 보자.야구장은 본루의 위치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다. 본루의 뾰족한 끝점에서 넓은 밑변의 가운데로 내린 수선을 연장해, 38.79m 떨어진 곳이 2루가 된다. 본루의 끝점에서 양쪽 빗변을 따라 그은 선은 각각 좌우 ... ...
- 수학으로 물든 제주도! 2010 제주수학축제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모양으로 오리다 보면 잠자리 머리 부분에 무게중심이 생긴다고 해.페르마의 점을 찾아보자대기고등학교 2학년 수학동아리 친구들이 비눗물을 이용해 페르마의 점을 찾아 보여 주고 있었어. 페르마의 점은 삼각형의 각 꼭짓점으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가장 작게 되는 점을 말하거든. 아크릴 판으로 ...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때문이다. 새학년 초에 반 학생 앞에서 본보기로 떠든 학생을 체벌하는 교사의 예를 들어 보자. 이후 그 교사의 수업 시간에는 학생들이 떠들지 않는다. 이것을 체벌의 효과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실제로는 강화에 해당한다. 학생들은 본보기 체벌을 통해 떠들면 체벌을 당한다는 규칙을 익혔다. ... ...
- 미션! 이상한 공장에서 고양이를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줄무늬? 하지만 이 벽은 기울어 보이는걸요?!“흠…. 방법이 있을 거야. 옆을 밀어 보자.”드르르륵…. 어머나! 벽의 옆을 밀어서 무늬를 맞추었더니 반듯하게 제대로 보여! 이렇게 해 보세요!벽의 손잡이 부분을 잡고 밀었다가 당겼다가 해 보세요. 바둑판 무늬가 어긋났을 때와 바르게 되었을 때, ... ...
- 달라이 라마, 포도밭을 가꾸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걷는 하이킹은 스위스의 속살을 느낄 수 있다. 스위스의 포도밭을천천히 음미하며 걸어보자. 사람들이 자연과 함께 사는 모습이 어떤 것인지 제대로 알게 될 것이다. 마침 스위스 정부는 2010년과 2011년을 ‘스위스 걷기의 해’로 정하고 국토 전역에 걸쳐 6만km의 하이킹 코스를 마련다. 각 코스마다 ... ...
- 최초의 과학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탄생했으며, 1981년에는 최초로 우주왕복선이 발사됐다.‘사이언스’의 속도를 좀 더 올려보자. 1797년에는 에드워드 제가 첫 번째 백신접종을 실시했다. 1730년경에는 샤를 뒤페가 양전하와 음전하를 발견했고, 1583년에는 펠릭스 플래터가 눈의 일부인 망막이 빛에 자극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밸런스가 좋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 공을 던질 때 힘의 전달 과정을 단순하게 표현해보자. 투구를 할 때 투수는 무릎을 끌어올렸다가 앞으로 내딛어 전진하는 힘을 만든다. 이어서 내딛는 발을 지면에 닿게할 때 하체의 전진력이 관성을 통해 상체에 전달된다. 이때 꼬였던 허리와 어깨가 풀리며 ... ...
-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어떤 것이 있을까. 거름종이처럼 흡수력이 좋은 종이와 수성펜을 준비해보자. 종이 끝 1.5~2cm 지점에 수성펜으로 작은 점을 찍고 끝 부분을 물에 담가 놓는다. 그러면 물이 그 종이 분자 사이의 틈을 타고 올라가며 수성펜의 색이 분리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흡수된 물이 잉크와 만나면 그 잉크를 ... ...
- 2014년 서울은 수학으로 물든다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열리는 걸까? 남모르는 우리나라 수학자의 노력이 있지 않았을까? 아빠께 여쭤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여는 열쇠 자물쇠 속 수학 열쇠 속 수학 번호를 사용하는 자물쇠 디지털 자물쇠 2014년 서울은 수학으로 물든다 2014년, 대한민국에서 국제수학자대회를 엽시다! 왜 ... ...
- 계산법의 혁명, 로그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9호
- 막대는 6단을 나타낸다.실제로 네이피어의 계산자를 이용해서 6497에 3을 곱한 값을 구해보자. 우선 왼쪽에 1부터 9까지 세로로 숫자가 쓰인 막대를 놓는다. 그런 다음 그 옆에 차례로 6, 4, 9, 7단 막대를 놓는다. 곱하는 수가 3이므로 세 번째 가로 줄의 수를 대각선으로 더한 1, 8+1, 2+2, 7+2, 1을 차례로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