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어디라도 날아오를 듯 날렵해 보였다. 설계도로만 만나던 연월기를 실제로
보자
, 지오는 눈앞에 두고도 믿기지 않았다.“우와! 정말 대단해! 이제 뚜껑하고 쇠침만 만들면 되겠네.”지오는 신이 나서 연월기 주위를 겅중겅중 뛰어다녔다. 곧 누나를 만날 생각에 가슴이 벅찼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 ...
110년째를 맞이한 노벨상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1969년에 신설돼 올해로 42년째다. 그럼 여기서 노벨상이 몇 번 선정됐는지 계산해
보자
.1901년부터 시작된 상이 5개니까 5에 110을 곱한 다음, 경제학상의 42를 더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592가 나오는데, 실제 노벨상은 543번만 선정됐다. 계산한 값에서 49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왜 그럴까? 벨상 선정이 ... ...
피라미드에 숨겨진 퍼즐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정팔면체의 부피 비는 1:4다.이를 확인하기 위해 정사면체와 정팔면체 부피 공식을 살펴
보자
. 아하! 생각이 쑥쑥!정사면체와 정팔면체로 만든 7면 입체도형앞에서 만든 정사면체 병아리를 두 마리 이상 만들어 병아리 경주를 해
보자
. 4개의 꼭짓점 중 바닥과 닿는 2개의 꼭짓점을 발이라고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사용할 수 있답니다.*나노미터 : 1㎝보다 1000만 배 작은 길이.버려지는 에너지도 다시
보자
!자동차가 지나가면서 땅이 울리는 진동이나 사람의 움직임도 모두 에너지예요. 지금까지 이런 에너지들은 더 이상 쓸 수 없다고 생각돼왔지요. 그런데, 이 에너지를 모아서 유용하게 쓰는 ... ...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직선을 그려
보자
. 직선은 곡선과 달리 곧게 똑바로 그리면 된다. 이보다 더 긴 직선은 없을까? 고속도로의 차선을 생각해
보자
. 얼마나 길고 곧게 뻗은‘직선’인가. 그런데 그 선을 비행기에서 내려다보면 사실은 굽은 선이다. 둥근 지구 위에는 선을 아무리 똑바로 그려도 굽을 수밖에 없기 ... ...
미션! 이상한 공장에서 고양이를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줄무늬? 하지만 이 벽은 기울어 보이는걸요?!“흠…. 방법이 있을 거야. 옆을 밀어
보자
.”드르르륵…. 어머나! 벽의 옆을 밀어서 무늬를 맞추었더니 반듯하게 제대로 보여! 이렇게 해 보세요!벽의 손잡이 부분을 잡고 밀었다가 당겼다가 해 보세요. 바둑판 무늬가 어긋났을 때와 바르게 되었을 때, ... ...
달라이 라마, 포도밭을 가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걷는 하이킹은 스위스의 속살을 느낄 수 있다. 스위스의 포도밭을천천히 음미하며 걸어
보자
. 사람들이 자연과 함께 사는 모습이 어떤 것인지 제대로 알게 될 것이다. 마침 스위스 정부는 2010년과 2011년을 ‘스위스 걷기의 해’로 정하고 국토 전역에 걸쳐 6만km의 하이킹 코스를 마련다. 각 코스마다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밸런스가 좋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 공을 던질 때 힘의 전달 과정을 단순하게 표현해
보자
. 투구를 할 때 투수는 무릎을 끌어올렸다가 앞으로 내딛어 전진하는 힘을 만든다. 이어서 내딛는 발을 지면에 닿게할 때 하체의 전진력이 관성을 통해 상체에 전달된다. 이때 꼬였던 허리와 어깨가 풀리며 ... ...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어떤 것이 있을까. 거름종이처럼 흡수력이 좋은 종이와 수성펜을 준비해
보자
. 종이 끝 1.5~2cm 지점에 수성펜으로 작은 점을 찍고 끝 부분을 물에 담가 놓는다. 그러면 물이 그 종이 분자 사이의 틈을 타고 올라가며 수성펜의 색이 분리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흡수된 물이 잉크와 만나면 그 잉크를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때문이다. 새학년 초에 반 학생 앞에서 본보기로 떠든 학생을 체벌하는 교사의 예를 들어
보자
. 이후 그 교사의 수업 시간에는 학생들이 떠들지 않는다. 이것을 체벌의 효과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실제로는 강화에 해당한다. 학생들은 본보기 체벌을 통해 떠들면 체벌을 당한다는 규칙을 익혔다.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