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겨울 추위 이기게 하는 입 큰 생선 대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왕성한 식욕에 걸맞게 성장도 빨라서 태어난 지 2~3년이면 50cm, 6년이면 90cm 내외로 자라며
최대
몸길이는 1m에 이른다.빨리 자라고 알을 많이 낳으니 자손이 번성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대구가 엄청난 개체 수를 자랑하던 때가 있었다. 과거에는 겨울철만 되면 대량으로 잡혀 남해안의 어시장이 ... ...
한국 원전 첫 수출, 숨은 비결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가져와 성능을 향상시킨 것이라면 APR1400은 순수 우리 힘으로 설계한 모델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발전용 원자로를 독자적으로 개발하겠다는 당찬 계획이었다.처음 10년간은 시련과 고난의 연속이었다. 하얀 백지상태에서 원전을 A부터 Z까지 설계하는 일은 엄청난 시행착오가 뒤따를 수밖에 없었다.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쉽고 우주에서 재충전도 가능하다. 문제는 기술이 아직 성숙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최대
속도는 광속의 12% 정도로 핵분열 방식과 같다.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 가려면 200만t의 연료가 필요하다. 반물질 로켓 가장 효율이 높은 방식. 반물질 로켓의 경우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 가는 데 드는 연료가 ... ...
지하철, 사람이 많다면 다음 열차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지연 시간을 측정했습니다. 그 결과 매 역을 지날 때마다 지연시간이 늘어나 결과적으로
최대
7분이 늦어진다는 사실을 알아 냈습니다. 지하철은 역 간격이 짧아 속도를 빠르게 하더라도 전체 구간의 평균속도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정차시간이 전체 이동시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
천식, 치매까지 치료하는 파스의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소형 반도체 칩이 부착 돼 있다. 이 칩은 인슐린이 췌장에서 자연적으로 분 비되는 것과
최대
한 유사하게 방출되도록 인슐린 주 입량을 미세하게 조절한다. 크기도 기존 인슐린 패치 에 사용되는 칩의 4분의 1 수준으로 작아 패치를 피부 에 부착했을 때 눈에 잘 띄지 않는다.전극을 이용해 극성을 ... ...
자전거 40년 노하우를 한 권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없는 창조론과 진화론 사이에서 그는 이번에도 진화론 쪽의 손을 들어줬다. ‘지상
최대
의 쇼’는 진화론에게 최고의 지지자인 셈이다.미지수, 상상의 역사존 더비셔 지음 | 고중숙 옮김 | 승산 | 527쪽 | 2만 원“대수는 ‘이것에 이것을 더하면 이것이 된다’라는 평서문을 ‘이것에 무엇을 더하면 ... ...
Part 2. 뼈대있는 스키 가족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폭이 넓고 가운데는 좁아. 이런 스키는 회전할 때 눈을 날카롭게 파고들어 회전 반지름을
최대
한 줄여서 회전이 빠르게 이뤄지도록 돕지. 스키가 회전할 때 날리는 눈발이 거의 생기지 않고 칼로 그린 듯 날카로운 곡선의 흔적만 남기지.산에서 하는 알파인 스키와 달리 언덕이나 숲을 달리는 스키는 ... ...
2010년 남아공월드컵 공인구 자블라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측정된 값과 가장 작게 측정된 값의 차이는 1.5% 이하여야 한다. 아디다스는 “자블라니는
최대
와 최소 지름의 차가 1.0%로 역대 공인구 중 구형에 가장 가깝다”고 설명했다.자블라니는 패널 수가 8개로 훨씬 적고 패널 모양도 평면이 아니라 곡면이다(입체 패널). 그래서 공을 찰 때 에너지가 골고루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에 비해 휴보2는 시속 3km 정도의 속도로 달린다.
최대
속도는 시속 3.6km다. 두 발의
최대
보폭은 30cm로 넓어졌다. 5년에 가까운 연구개발이 드디어 빛을 본 것이다.이런 노력을 들여 로봇을 꼭 두 발로 걷고 달리게 할 필요가 있는 걸까. 여기에 대해선 일부 전문가들조차 회의적이다. 로봇이 꼭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적한다. 다 자란 아무르호랑이 수컷의 활동 범위는 400km2나 되는데, 연천군 보호지는
최대
0.66km2(66만m2)에 불과해 동물원 사육장과 별 차이가 없다는 뜻이다.먹이도 문제다. 이항 교수는 “호랑이가 주로 먹는 먹이는 멧돼지나 붉은사슴처럼 몸집이 큰 동물들이지만 DMZ에는 그만한 크기의 동물이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